허리 라인 강조한 체크·스트라이프 무늬 재킷에
실용적인 면남방 매치…진한 컬러 양말로 마무리
실크 정장바지에 면점퍼는 NO…펑퍼짐한 재킷·바지도 NO
◆와이셔츠 'No'…면 남방 입어라
가장 많이 오해하는 부분은 '넥타이만 풀면 된다'는 생각이다. 헐렁한 정장 재킷과 바지,와이셔츠 차림을 그대로 한 채 묶었던 넥타이만 푼다고 비즈니스 캐주얼이 된다고 생각하면 모르시는 말씀.그건 그냥 '갖춰 입지 않은 슈트차림'일 뿐이다.
실크 울 등의 소재로 만든 와이셔츠 단추를 한두 개 푼 채로 겉에 재킷만 면 소재로 바꿔 입는 것도 마찬가지다. 마치 한복 바지 위에 양복 재킷을 입은 셈이랄까. 색상만 비슷하다고 되는 게 아니라 소재와 몸에 꼭 맞는 정도까지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재킷은 면 · 린넨 소재로 만든 블레이저(콤비 상의)가 가장 무난하다. 짙은 단색의 블레이저를 갖고 있다면 체크 · 스트라이프 등의 무늬가 들어간 면 소재 남방을 추천할 만하다. 늘 입던 재킷과 바지에 셔츠만 바꿔도 색다른 분위기를 낼 수 있어 면 남방은 멋내기 좋은 실용적인 아이템이다.
보수적인 분위기의 직장이라면 무늬가 들어간 셔츠보다는 밝은 단색 셔츠가 좋다. 재킷과 바지를 같은 어두운 톤으로 맞추고,셔츠 색만 포인트로 줘도 밝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실크 정장바지에 면 점퍼가 웬말
셔츠뿐 아니라 바지도 중요하다. 실크 · 울 등으로 만든 정장바지를 입은 채 셔츠만 면 소재로 바꿔 입는 것도 많이 범하는 실수다. 발목까지 오는 일자라인의 9부 면팬츠를 살짝 접어 입으면 다리도 더 길어 보인다. 이게 부담스러운 '하체 튼실' 아저씨들은 신발 굽의 절반쯤을 접는 길이의 면팬츠를 입는 게 무난하다. 색상은 재킷이나 셔츠와 맞춰야 안정감을 줄 수 있다.
'안 보이겠지' 하는 생각으로 안에 셔츠와 바지는 그대로 입은 채 재킷만 아웃도어 방풍재킷,면 점퍼로 갈아입는 건 그야말로 '최악'이다. 비즈니스 캐주얼의 방점은 '캐주얼'이 아닌 '비즈니스'에 찍혀 있기 때문에 블레이저와 트렌치코트 등을 걸쳐줘야 한다. 갖고 있는 면 남방 · 바지가 너무 무난한 색상이라면 유행하고 있는 체크무늬 재킷 하나만 걸쳐도 색다른 룩을 연출할 수 있다.
이때 유의할 점은 너무 펑퍼짐한 재킷이나 바지를 입으면 안 된다는 점.배가 심하게 나온 사람이 아니라면 어느 정도 허리라인을 강조하는 디자인을 입어야 키도 크고 날씬해 보인다. 피팅감이 좋은 옷을 입을 때 훌륭한 애티튜트(자세와 행동거지)가 나온다는 건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는 진리다.
이현정 제일모직 갤럭시 디자인 실장은 "올가을 트렌드는 고급스러운 그레이 톤온톤 의상을 기본으로 프린트 넥타이,포켓 스퀘어,스카프 등으로 포인트를 주는 것"이라며 "그린 · 카키 등 가을 냄새가 나는 컬러와 레드 오렌지 펌프킨(호박색) 등 에너지가 넘치는 색상이 그레이와 잘 어울린다"고 말했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