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익 전망치 하향추세 이어질 것"-한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투자증권은 5일 국내 기업들의 이익 컨센서스(증권사 평균 전망치) 하향 조정이 당분간 이어질 것이란 전망을 내 놨다.
이 증권사 노근환 연구원은 "12월 결산 주요 상장사(447개 회사)의 2분기 순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6.3% 증가하고 전분기 대비 0.7% 감소했다"며 "그러나 기저효과가 컸던 은행 업종을 제외하고 계산하면 전년동기와 전분기 대비 각각 9.8%, 6.2% 감소했다"고 전했다.
노 연구원은 "업종별로는 은행과 자동차, 철강, 소프트웨어의 실적 개선이 눈에 띈다"며 "정보기술(IT)과 음식료, 유틸리티, 산업재(운송, 복합산업, 건설) 업종은 실적이 크게 악화됐다"고 했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한국지수에서도 12개월 예상 주당순이익(EPS)는 지난 6월을 고점으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
12개월 예상 EPS 계산에 사용되는 기간가중 효과를 고려하면 2011년과 2012년 EPS 추정치는 실제로는 5월 이후 하향세로 반전됐다는 분석이다.
노 연구원은 "일반적으로 실적 추정이 주가에 후행하고, 2분기 실적이 예상보다 부진하며 8월 급락 이후 글로벌 경기 부진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는 점 등을 감안하면 추정치 하향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그는 다만 "국내기업의 실적이 전년 대비 반도막 났던 2008년의 상황이 반복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환율이 그때처럼 급등할 가능성은 적기 때문"이라고 했다.
노 연구원은 "비즈니스 사이클이 장기호황의 정점에 있던 2007년 말보다는 양호하다는 것도 기업이익과 주가의 하단을 어느 선에서 지지하는데 버팀목이 되어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경닷컴 김효진 기자 jinhk@hankyung.com
이 증권사 노근환 연구원은 "12월 결산 주요 상장사(447개 회사)의 2분기 순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6.3% 증가하고 전분기 대비 0.7% 감소했다"며 "그러나 기저효과가 컸던 은행 업종을 제외하고 계산하면 전년동기와 전분기 대비 각각 9.8%, 6.2% 감소했다"고 전했다.
노 연구원은 "업종별로는 은행과 자동차, 철강, 소프트웨어의 실적 개선이 눈에 띈다"며 "정보기술(IT)과 음식료, 유틸리티, 산업재(운송, 복합산업, 건설) 업종은 실적이 크게 악화됐다"고 했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한국지수에서도 12개월 예상 주당순이익(EPS)는 지난 6월을 고점으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
12개월 예상 EPS 계산에 사용되는 기간가중 효과를 고려하면 2011년과 2012년 EPS 추정치는 실제로는 5월 이후 하향세로 반전됐다는 분석이다.
노 연구원은 "일반적으로 실적 추정이 주가에 후행하고, 2분기 실적이 예상보다 부진하며 8월 급락 이후 글로벌 경기 부진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는 점 등을 감안하면 추정치 하향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그는 다만 "국내기업의 실적이 전년 대비 반도막 났던 2008년의 상황이 반복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환율이 그때처럼 급등할 가능성은 적기 때문"이라고 했다.
노 연구원은 "비즈니스 사이클이 장기호황의 정점에 있던 2007년 말보다는 양호하다는 것도 기업이익과 주가의 하단을 어느 선에서 지지하는데 버팀목이 되어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경닷컴 김효진 기자 jin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