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건호 "한국형 헤지펀드는 자본시장 업그레이드 계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황건호 금융투자협회장은 7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미래에셋 글로벌 헤지펀드 포럼'에서 "한국형 헤지펀드 도입을 우리 자본시장과 금융시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키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황 회장은 "해외에서는 금융위기와 같은 비정상적인 상황에서도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설계한 블랙스완 펀드를 출시하는 등 헤지펀드가 변화하는 상황에 맞춰 진화하고 있다"며 "세계 10대 경제 강국인 한국으로서는 오히려 헤지펀드 도입이 늦은 감이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선진국에서 헤지펀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음에도 헤지펀드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7월 기준 전세계 헤지펀드의 순자산은 금융위기 이전 수준까지 빠르게 회복되고 있으며, 투자 대상도 과거 선진국 중심에서 아시아 시장으로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황 회장은 "헤지펀드로 인한 시장 교란과 투자자 보호 등의 우려를 극복하고 선제적 관리 감독과 정보제공 강화 등 충분한 제도 보완을 마련할 것"이라며 "역량 있는 프라임브로커를 키우기 위해 금융투자사들도 충분한 자기자본을 확충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단기적인 수익보다는 장기적으로 창의적인 글로벌 인재 약성과 혁신적인 리더쉽을 발휘해야 하는 데 금융업계가 힘써야 하며 엄격한 윤리성을 갖춘 금융 전문가를 육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황 회장은 헤지펀드 시장이 열릴 경우 신규 비즈니스 창출과 실물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촉매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한 대체투자로서의 헤지펀드 도입으로 금융투자상품의 라인업이 충실하게 갖춰져 투자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경닷컴 김다운 기자 kdw@hankyung.com
황 회장은 "해외에서는 금융위기와 같은 비정상적인 상황에서도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설계한 블랙스완 펀드를 출시하는 등 헤지펀드가 변화하는 상황에 맞춰 진화하고 있다"며 "세계 10대 경제 강국인 한국으로서는 오히려 헤지펀드 도입이 늦은 감이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선진국에서 헤지펀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음에도 헤지펀드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7월 기준 전세계 헤지펀드의 순자산은 금융위기 이전 수준까지 빠르게 회복되고 있으며, 투자 대상도 과거 선진국 중심에서 아시아 시장으로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황 회장은 "헤지펀드로 인한 시장 교란과 투자자 보호 등의 우려를 극복하고 선제적 관리 감독과 정보제공 강화 등 충분한 제도 보완을 마련할 것"이라며 "역량 있는 프라임브로커를 키우기 위해 금융투자사들도 충분한 자기자본을 확충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단기적인 수익보다는 장기적으로 창의적인 글로벌 인재 약성과 혁신적인 리더쉽을 발휘해야 하는 데 금융업계가 힘써야 하며 엄격한 윤리성을 갖춘 금융 전문가를 육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황 회장은 헤지펀드 시장이 열릴 경우 신규 비즈니스 창출과 실물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촉매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한 대체투자로서의 헤지펀드 도입으로 금융투자상품의 라인업이 충실하게 갖춰져 투자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경닷컴 김다운 기자 k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