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국채 휴지조각으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확산되는 유럽 공포
2년만기 금리 50% 돌파…사실상 디폴트
2년만기 금리 50% 돌파…사실상 디폴트
심각한 재정난에 허덕이는 그리스에 대한 추가 구제금융이 불투명해지자 그리스 국채도 휴지조각으로 전락하고 있다. 국채 수익률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다 못해 이제 그리스 정부는 돈을 빌리려면 원금의 절반 수준을 이자로 내야 할 처지에 놓였다. 사실상 디폴트(채무 불이행)나 다름없다는 분석이다.
7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번주 들어 그리스 2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연 50%를 돌파했다. 지난 2일 런던 채권시장에서 49.09%를 기록했던 2년물 수익률은 5일 55.49%로 치솟으며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고 6일엔 54.38%였다.
이날 10년물 국채 수익률도 전날보다 0.5%포인트 오른 연 19.81%에 마감,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독일 10년 만기 국채와의 스프레드(수익률 격차)도 사상 최대치로 벌어졌다. 그리스 국채의 가치 폭락은 1997년 한국의 외환위기 때보다 심각하다. 당시 한국에서는 3개월 만기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는 연 25%로 급등했고 5년물 국고채 금리는 15%를 넘어섰다.
엘리자베스 애프세스 에볼루션증권 전략가는 "그리스의 디폴트가 임박했다"며 "현 상황에선 60%의 헤어컷(빌린 원금의 일부를 탕감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는 그리스 국채의 액면 가격이 60% 떨어진다는 의미다.
최근 다시 불거지는 그리스의 디폴트 위험은 유럽연합(EU)과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 7월 약속한 2차 구제금융 지원이 불투명해지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구제금융의 조건이었던 민영화가 차질을 빚고 있고 핀란드와 담보협약을 체결한 것에 대해 EU 회원국들이 반발하고 있다.
정성택 기자 naive@hankyung.com
7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번주 들어 그리스 2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연 50%를 돌파했다. 지난 2일 런던 채권시장에서 49.09%를 기록했던 2년물 수익률은 5일 55.49%로 치솟으며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고 6일엔 54.38%였다.
이날 10년물 국채 수익률도 전날보다 0.5%포인트 오른 연 19.81%에 마감,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독일 10년 만기 국채와의 스프레드(수익률 격차)도 사상 최대치로 벌어졌다. 그리스 국채의 가치 폭락은 1997년 한국의 외환위기 때보다 심각하다. 당시 한국에서는 3개월 만기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는 연 25%로 급등했고 5년물 국고채 금리는 15%를 넘어섰다.
엘리자베스 애프세스 에볼루션증권 전략가는 "그리스의 디폴트가 임박했다"며 "현 상황에선 60%의 헤어컷(빌린 원금의 일부를 탕감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는 그리스 국채의 액면 가격이 60% 떨어진다는 의미다.
최근 다시 불거지는 그리스의 디폴트 위험은 유럽연합(EU)과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 7월 약속한 2차 구제금융 지원이 불투명해지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구제금융의 조건이었던 민영화가 차질을 빚고 있고 핀란드와 담보협약을 체결한 것에 대해 EU 회원국들이 반발하고 있다.
정성택 기자 naiv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