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덕진 명지대 환경생명공학과 교수는 "정부가 2020년까지 세계 1위 물기업인 프랑스의 베올리아워터와 같은 글로벌 스타 물기업 8개를 만들겠다고 선언한 것은 현실을 외면한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장 교수는 "한국에서 기술 개발과 운영 · 관리 등을 모두 담당하는 물 종합 기업을 육성하는 건 시장 규모를 보더라도 불가능에 가깝다"며 "대신 정수설비 등 특정 분야에 주력해야만 해외에서 성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물기업이 해외에서 특정 분야에 주력하면서 브랜드 이미지를 쌓은 후에 종합적인 물기업으로 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주현종 경기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해외에선 상 · 하수도 사업을 점차 민 · 관 공동으로 운영하는 추세"라며 "반면 한국에선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다 보니 민간 기업들이 관리 노하우를 쌓는 게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주 교수는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위해서라도 상 · 하수도 사업을 민간에 넘기는 걸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른 전문가 K씨는 "현재 한국에선 해외 기업과 겨룰 수 있는 규모를 가진 환경기업이 수자원공사와 환경공단뿐"이라며 "그러나 공기업 특성상 이들 기업이 여전히 관료적 사고를 버리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해외 기업은 투자나 사업 결정 속도가 빠른 데 비해 한국 공기업은 완전히 반대"라며 "이들 기업도 해외에 진출할 때는 민간기업 마인드를 가져야만 한다"고 조언했다.
양정우 한국수출입은행 기술역은 "환경산업의 특성상 공적개발원조(ODA) 등 환경원조를 통한 개발도상국 시장 선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ODA를 통해 지원받은 자금으로 해외 및 자국 기업에 사업을 발주하게 되는데 이 분야에 한국 기업들이 뛰어들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송기훈 환경산업기술원 연구원도 "환경시설은 국가 인프라 산업인 동시에 다른 산업의 주요 인프라 시설로 기업들 간 패키지 진출이 가능하다"며 "마케팅,자금조달에서 우위를 갖는 대기업과 기술력을 보유한 중소기업이 해외에 동반진출한다면 시너지 창출이 가능하다"고 제안했다.
이찬희 환경부 녹색환경정책관은 "지난 4월 개정된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을 통해 환경산업 육성 및 투자 확대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