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암 바이러스 등에 대한 치료제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RNA 간섭 구조를 발견했다.

이동기 성균관대 화학과 교수(사진)팀은 비목표 유전자의 억제 현상을 크게 개선한 새로운 RNA 간섭 구조를 발견해 분자의학지인 '분자치료(Molecular Therapy)'지에 실었다고 14일 발표했다.

인체 내의 마이크로 RNA 등 '작은 RNA'는 목표 유전자에 달라붙어 해당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며,이를 '작은 RNA 간섭(siRNA)'현상이라고 한다. 즉 RNA를 암이나 바이러스 등 유전자에 인위적으로 달라붙게 해 해당 유전자를 억제하면 질병을 치료하는 등 다양하게 생명현상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작은 RNA 간섭현상에서는 목표 유전자 외에 목표하지 않은 유전자를 함께 억제하는 부작용(오프-타깃)이 보고돼 왔다.

연구진은 기존 RNA 간섭에 비해 목표 유전자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동시에 오프-타깃 현상을 현저하게 개선한 '돌출 RNA 간섭(bulge siRNA)' 구조를 새롭게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현재 오프-타깃 현상을 완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RNA 구조체에 비해 돌출 RNA 간섭이 훨씬 우월한 효과를 가짐을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며 "부작용이 적은 핵산치료제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성대 RNAi 신약개발 글로벌 연구실 책임자인 이 교수는 하버드 의대 연구진과 함께 관련 연구를 진행 중이며 이번 기술에 대해 국제 특허를 출원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