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채권 직접 매입 대신 중재자로 나설 수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美·유럽 위기극복 공조 - 라가르드 "한국도 유로존 지원" 발언에 정부 난색
IMF 아직 구체적 제안 없어…中 참여 등 분위기 조성 가능
IMF 아직 구체적 제안 없어…中 참여 등 분위기 조성 가능
"공식적으로 밝힐 수는 없지만 현실적으로는 무리다. "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사진)가 한국도 유로존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힌 데 대해 정부 관계자들은 15일 이 같은 반응을 나타냈다. 라가르드 총재는 지난 13일 한국경제신문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한국 등 신흥국들과 유로존 지원에 대해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분위기 조성 역할은 가능
정부는 외환보유액이 부족하지는 않지만 유로존을 지원할 정도는 아니라고 보고 있다. 또 "유럽의 문제는 유럽이 해결하는 것이 맞다"는 기류도 강하다. 기획재정부 고위 관계자는 "아직 IMF에서 구체적인 제안을 받지 않아 단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현재 여러 상황을 고려하면 쉽지 않다"고 말했다. 그리스의 디폴트(채무 불이행)로 유럽 재정위기가 금융위기로 전이되면서 외화유동성이 악화될 경우를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다는 설명이다. IMF에서 공식 논의에 들어가지도 않았는데 한국이 미리 나서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분위기도 있다.
그렇다고 정부가 지원에 나서지 않겠다고 '선언'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한국은 지난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의장국이었다. 정부는 일단 국제사회의 지원을 이끌어내는 중재자 역할을 하는 쪽에 무게를 싣고 있다.
정부는 라가르드 총재의 발언 진위를 분석한 결과 원론적인 수준의 멘트에 가깝다고 보고 있다. 즉 '한국 등 여력이 있는 신흥국들이 유럽 채권을 사주는 것은 당연히 나쁘지 않다' 정도의 의미로 답했다는 것이다.
◆"국제적 다툼에 낄 이유 없다"
정부 일각에서는 브라질과 중국 등 브릭스(BRICs)의 유로존 지원 논의를 국제금융시장의 헤게모니와 관련된 이슈로 보고 있다. 즉 달러와 유로화 중심의 국제결제시스템에서 위안화와 헤알화의 영향력을 키우기 위한 중국과 브라질의 공조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얘기다. 우리 정부가 선뜻 유로존 지원에 나서기 어려운 것도 미국과 유럽 대 신흥국 간의 통화 대결 구도에 휘말릴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 등이 디폴트 위기에 몰린 그리스 등 유럽 국가의 국채를 실제로 매입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분석도 있다. 전문가들도 중국이 원자재가 아닌 사실상 디폴트 상황인 유로존 국가의 채권에 적극적인 베팅을 할 이유가 없다며 투자 의사를 밝힌 것은 이미지 관리 차원이 클 것이라고 보고 있다.
서욱진/이심기 기자 venture@hankyung.com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사진)가 한국도 유로존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힌 데 대해 정부 관계자들은 15일 이 같은 반응을 나타냈다. 라가르드 총재는 지난 13일 한국경제신문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한국 등 신흥국들과 유로존 지원에 대해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분위기 조성 역할은 가능
정부는 외환보유액이 부족하지는 않지만 유로존을 지원할 정도는 아니라고 보고 있다. 또 "유럽의 문제는 유럽이 해결하는 것이 맞다"는 기류도 강하다. 기획재정부 고위 관계자는 "아직 IMF에서 구체적인 제안을 받지 않아 단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현재 여러 상황을 고려하면 쉽지 않다"고 말했다. 그리스의 디폴트(채무 불이행)로 유럽 재정위기가 금융위기로 전이되면서 외화유동성이 악화될 경우를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다는 설명이다. IMF에서 공식 논의에 들어가지도 않았는데 한국이 미리 나서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분위기도 있다.
그렇다고 정부가 지원에 나서지 않겠다고 '선언'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한국은 지난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의장국이었다. 정부는 일단 국제사회의 지원을 이끌어내는 중재자 역할을 하는 쪽에 무게를 싣고 있다.
정부는 라가르드 총재의 발언 진위를 분석한 결과 원론적인 수준의 멘트에 가깝다고 보고 있다. 즉 '한국 등 여력이 있는 신흥국들이 유럽 채권을 사주는 것은 당연히 나쁘지 않다' 정도의 의미로 답했다는 것이다.
◆"국제적 다툼에 낄 이유 없다"
정부 일각에서는 브라질과 중국 등 브릭스(BRICs)의 유로존 지원 논의를 국제금융시장의 헤게모니와 관련된 이슈로 보고 있다. 즉 달러와 유로화 중심의 국제결제시스템에서 위안화와 헤알화의 영향력을 키우기 위한 중국과 브라질의 공조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얘기다. 우리 정부가 선뜻 유로존 지원에 나서기 어려운 것도 미국과 유럽 대 신흥국 간의 통화 대결 구도에 휘말릴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 등이 디폴트 위기에 몰린 그리스 등 유럽 국가의 국채를 실제로 매입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분석도 있다. 전문가들도 중국이 원자재가 아닌 사실상 디폴트 상황인 유로존 국가의 채권에 적극적인 베팅을 할 이유가 없다며 투자 의사를 밝힌 것은 이미지 관리 차원이 클 것이라고 보고 있다.
서욱진/이심기 기자 ventu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