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차, 전기차 '탐' 연말 출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양웅철 현대·기아차 부회장
"연간 2000대 판매 목표…현대차는 하이브리드, 기아는 전기차에 집중"
"연간 2000대 판매 목표…현대차는 하이브리드, 기아는 전기차에 집중"
BMW 아우디 닛산 등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들이 지난 13일 개막한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앞다퉈 전기차를 선보인 가운데 현대자동차그룹이 전기차 등 미래형 자동차에 대한 대응전략을 공개했다.
양웅철 현대 · 기아자동차 연구개발 총괄 부회장(사진)은 최근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기자들과 만나 "현대차는 전기차로 가지 않고 하이브리드카에 집중하고 그 대신 기아차가 전기차 개발을 주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 부회장은 "기아차는 올 연말 양산형 전기차 '탐(TAM)'을 출시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판매할 예정"이라며 "탐은 현재 개발을 거의 마치고 시험 운행 중이며 연간 판매 목표는 2000대"라고 말했다.
전기차 '탐'은 닛산 '큐브'와 같은 박스카 형태다. 효성중공업의 전기모터와 SK에너지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장착된다. 한 번 충전으로 최대 160㎞까지 주행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 부회장은 "탐은 기아차 쏘울과 (외형이) 다르며 다용도 가족용으로 자전거도 실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아차는 가솔린 엔진을 장착한 탐도 연내 선보일 예정이다.
그는 또 글로벌 자동차업체들이 전기차 컨셉트카를 경쟁적으로 공개한 것과 관련,"전기차는 배터리 기술에 한계가 있다"며 "이번에 공개된 전기차는 오토바이처럼 (자동차와) 다른 종류의 이동수단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전기차가 기존 (내연기관) 차를 전면적으로 대체하기 힘들다"고 덧붙였다.
실제 BMW 'i3',아우디 '어반',폭스바겐 '닐스' 등 이번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공개된 전기차는 모두 도심형 이동수단(megacity vehicle)에 초점을 맞췄다.
양 부회장은 "연비 향상과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내연기관의 기술 개발은 현대차가 주도하고 도심형 이동수단인 전기차는 기아차가 집중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일종의 분업화 전략을 구사한다는 것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9월 국내 최초의 상용 전기차 '블루온'을 생산해 전기차 기술력을 입증했다. 기아차의 전기차 탐이 연말께 본격 양산되면 현대차는 블루온을 더 이상 생산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는 전기차보다 수소연료전지차가 궁극적인 미래형 자동차가 될 것으로 보고 관련 기술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프랑크푸르트=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
양웅철 현대 · 기아자동차 연구개발 총괄 부회장(사진)은 최근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기자들과 만나 "현대차는 전기차로 가지 않고 하이브리드카에 집중하고 그 대신 기아차가 전기차 개발을 주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 부회장은 "기아차는 올 연말 양산형 전기차 '탐(TAM)'을 출시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판매할 예정"이라며 "탐은 현재 개발을 거의 마치고 시험 운행 중이며 연간 판매 목표는 2000대"라고 말했다.
전기차 '탐'은 닛산 '큐브'와 같은 박스카 형태다. 효성중공업의 전기모터와 SK에너지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장착된다. 한 번 충전으로 최대 160㎞까지 주행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 부회장은 "탐은 기아차 쏘울과 (외형이) 다르며 다용도 가족용으로 자전거도 실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아차는 가솔린 엔진을 장착한 탐도 연내 선보일 예정이다.
그는 또 글로벌 자동차업체들이 전기차 컨셉트카를 경쟁적으로 공개한 것과 관련,"전기차는 배터리 기술에 한계가 있다"며 "이번에 공개된 전기차는 오토바이처럼 (자동차와) 다른 종류의 이동수단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전기차가 기존 (내연기관) 차를 전면적으로 대체하기 힘들다"고 덧붙였다.
실제 BMW 'i3',아우디 '어반',폭스바겐 '닐스' 등 이번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공개된 전기차는 모두 도심형 이동수단(megacity vehicle)에 초점을 맞췄다.
양 부회장은 "연비 향상과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내연기관의 기술 개발은 현대차가 주도하고 도심형 이동수단인 전기차는 기아차가 집중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일종의 분업화 전략을 구사한다는 것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9월 국내 최초의 상용 전기차 '블루온'을 생산해 전기차 기술력을 입증했다. 기아차의 전기차 탐이 연말께 본격 양산되면 현대차는 블루온을 더 이상 생산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는 전기차보다 수소연료전지차가 궁극적인 미래형 자동차가 될 것으로 보고 관련 기술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프랑크푸르트=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