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승 산학협력학회 초대 회장 "대학 기술이전 수입 고작 연 3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업-대학-정부 3각 협력 절실"
美선 170억…선순환 구조 정착
산학협력 우수社에 가산점 줘야
美선 170억…선순환 구조 정착
산학협력 우수社에 가산점 줘야
"국내 기업들의 연구 · 개발(R&D) 투자액 중 대학에 투자되는 비중은 2% 정도(연간 4300억원가량)밖에 되지 않습니다. 산업계가 요구하는 기술과 대학이 보유한 기술의 미스매치가 아직 크다는 얘기죠.산학 협력의 주체인 기업과 대학,정책을 통해 산학 협력을 지원하는 정부 사이의 소통과 협력이 절실합니다. "
지난 7월 출범한 한국산학협력학회의 초대 회장 김우승 한양대 ERICA캠퍼스 산학기획처장(사진)은 19일 "한국형 산학 협력 모델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산학 협력의 기본은 대학이 보유한 기술을 기업이 사용하고 대신 로열티를 지불하는 것이다. 산학 협력이 잘 되면 '기술이전→산업 발전→로열티 환수→대학 재정 강화→신기술 개발'의 선순환 구조가 가능해진다. R&D 인력의 교류를 통해 대학의 취업과 기업의 재교육이라는 과제를 한꺼번에 해결할 수도 있다.
정부는 산학 협력을 잘하는 대학 50개교를 선정해 연간 2300억원을 지원하는 산학 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산업단지 안에 대학을 운영하는 산업단지 캠퍼스사업,국내외 산업계 변화에 대응하고 글로벌 직업교육 역량을 갖춘 세계적 수준의 전문대학(WCC · World Class College) 육성사업 등으로 산학 협력을 지원하고 있다.
김 회장은 "선순환 구조가 잡혀있는 미국 대학들은 연 평균 3300억원의 R&D 비용을 쓰고 기술이전 수입으로 170억원을 올리지만 한국 대학들은 R&D 비용 340억원에 3억원을 버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대학과 기업들의 미스매치를 해소하기 위한 접점이 아직 부족한 상황"이라며 "산학협력학회는 이런 갭을 줄이기 위해 산학 연계 기술교류를 주도하며,산학 협력의 성공 사례도 발굴해 확산시켜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정부가 산업체 경력 10년 이상의 '산학협력 중점교수' 채용 지원에 나선 것은 이런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며 "기업의 산학 협력 참여를 늘리기 위해선 기업들에 '산학협력 마일리지' 제도를 도입하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정부 사업에 응모할 때 산학 협력 경력이 많은 기업들에 가산점을 주자는 것이다. 또 기업들에는 "대학생들을 1회성 인턴으로 활용하는 데 그치지 말고 구체적인 직업 경혐을 쌓을 수 있는 방향으로 현장실습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
지난 7월 출범한 한국산학협력학회의 초대 회장 김우승 한양대 ERICA캠퍼스 산학기획처장(사진)은 19일 "한국형 산학 협력 모델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산학 협력의 기본은 대학이 보유한 기술을 기업이 사용하고 대신 로열티를 지불하는 것이다. 산학 협력이 잘 되면 '기술이전→산업 발전→로열티 환수→대학 재정 강화→신기술 개발'의 선순환 구조가 가능해진다. R&D 인력의 교류를 통해 대학의 취업과 기업의 재교육이라는 과제를 한꺼번에 해결할 수도 있다.
정부는 산학 협력을 잘하는 대학 50개교를 선정해 연간 2300억원을 지원하는 산학 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산업단지 안에 대학을 운영하는 산업단지 캠퍼스사업,국내외 산업계 변화에 대응하고 글로벌 직업교육 역량을 갖춘 세계적 수준의 전문대학(WCC · World Class College) 육성사업 등으로 산학 협력을 지원하고 있다.
김 회장은 "선순환 구조가 잡혀있는 미국 대학들은 연 평균 3300억원의 R&D 비용을 쓰고 기술이전 수입으로 170억원을 올리지만 한국 대학들은 R&D 비용 340억원에 3억원을 버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대학과 기업들의 미스매치를 해소하기 위한 접점이 아직 부족한 상황"이라며 "산학협력학회는 이런 갭을 줄이기 위해 산학 연계 기술교류를 주도하며,산학 협력의 성공 사례도 발굴해 확산시켜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정부가 산업체 경력 10년 이상의 '산학협력 중점교수' 채용 지원에 나선 것은 이런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며 "기업의 산학 협력 참여를 늘리기 위해선 기업들에 '산학협력 마일리지' 제도를 도입하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정부 사업에 응모할 때 산학 협력 경력이 많은 기업들에 가산점을 주자는 것이다. 또 기업들에는 "대학생들을 1회성 인턴으로 활용하는 데 그치지 말고 구체적인 직업 경혐을 쌓을 수 있는 방향으로 현장실습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