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은행들, 해외PF엔 눈 감고 대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시중은행의 지난 3월 말 현재 해외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잔액 1조4279억원 가운데 8152억원이 부실화한 것으로 국회 정무위 국정감사 자료에서 드러났다. 3개월 이상 이자를 못 받은 부실채권(고정이하 여신) 비율이 무려 57%에 달한다는 얘기다. 불확실성이 큰 신흥국 부동산에 마구잡이로 빌려준 결과다. 저축은행의 해외PF 대출 부실비율이 62%인 점을 감안할 때 은행이 별로 나을 것도 없다는 것이다.
물론 국내 은행들이 해외진출 과정에서 어느 정도 손실이 나는 것은 불가피한 수업료로 볼 수도 있다. 자산이 300조원대에 달하는 은행들의 초국적지수가 평균 2.7%에 불과하니 비좁은 국내시장에서 벗어나 해외로 눈을 돌릴 필요가 있다. 하지만 백번 양보해 해외 진출 수업료라고 하더라도 눈 감고 빌려준 게 아니고서야 대출금의 절반 이상을 떼일 판이란 사실은 도무지 납득하기 어렵다. 국내 부동산 PF 대출의 부실채권 비율이 4.2%에 불과한 것과도 너무 대조적이다.
은행들이 해외에만 나가면 깨지는 게 어제오늘 일은 아니다. 제각기 리딩뱅크라고 간판을 내건 은행들이 부채담보부증권(CDO) 신용파산스와프(CDS) 키코 같은 파생상품에 투자했다 조(兆)단위 손실을 봤고,해외 은행 인수 · 합병(M&A)에서는 잠재부실도 파악하지 않은 채 인수했다 밑빠진 독에 물 붓듯 손실을 메워온 게 현실이다. 어린아이도 물건을 살 때면 따져보고 비교한 뒤 결정하는데 은행들은 뭘 사는지도 모르고 덥석 물었다가 막대한 손실을 자초했다. 이것이 은행의 실력이고,해외PF 부실화도 그 연장선에 있다.
지난해 은행들은 128개 해외점포에서 3억7000만달러를 벌었지만 해외PF 손실을 감안하면 돈 번 게 있기나 한 건지 모르겠다. 상반기 9조9000억원의 순익도 80~90%가 국내 이자장사로 벌어들인 것이다. 은행의 사상 최대 순익은 국민의 금융고통이 그만큼 커졌다는 말과 같다. 국내 은행들의 실적은 결코 실력의 동의어가 아니다.
물론 국내 은행들이 해외진출 과정에서 어느 정도 손실이 나는 것은 불가피한 수업료로 볼 수도 있다. 자산이 300조원대에 달하는 은행들의 초국적지수가 평균 2.7%에 불과하니 비좁은 국내시장에서 벗어나 해외로 눈을 돌릴 필요가 있다. 하지만 백번 양보해 해외 진출 수업료라고 하더라도 눈 감고 빌려준 게 아니고서야 대출금의 절반 이상을 떼일 판이란 사실은 도무지 납득하기 어렵다. 국내 부동산 PF 대출의 부실채권 비율이 4.2%에 불과한 것과도 너무 대조적이다.
은행들이 해외에만 나가면 깨지는 게 어제오늘 일은 아니다. 제각기 리딩뱅크라고 간판을 내건 은행들이 부채담보부증권(CDO) 신용파산스와프(CDS) 키코 같은 파생상품에 투자했다 조(兆)단위 손실을 봤고,해외 은행 인수 · 합병(M&A)에서는 잠재부실도 파악하지 않은 채 인수했다 밑빠진 독에 물 붓듯 손실을 메워온 게 현실이다. 어린아이도 물건을 살 때면 따져보고 비교한 뒤 결정하는데 은행들은 뭘 사는지도 모르고 덥석 물었다가 막대한 손실을 자초했다. 이것이 은행의 실력이고,해외PF 부실화도 그 연장선에 있다.
지난해 은행들은 128개 해외점포에서 3억7000만달러를 벌었지만 해외PF 손실을 감안하면 돈 번 게 있기나 한 건지 모르겠다. 상반기 9조9000억원의 순익도 80~90%가 국내 이자장사로 벌어들인 것이다. 은행의 사상 최대 순익은 국민의 금융고통이 그만큼 커졌다는 말과 같다. 국내 은행들의 실적은 결코 실력의 동의어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