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참모.측근 "법적 대응 불사"..내부 조사 진행
한나라 "10ㆍ26 재보선으로 불똥튈라"..파장 주시

여권은 23일 대통령 측근들의 비리 의혹이 잇따라 불거지자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은진수 전 감사위원, 김해수 전 청와대 정무비서관에 이어 김두우 전 청와대 홍보수석, 신재민 전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의 금품수수 의혹이 터져 나오자 내부 단속에도 주력하는 모습이다.

그러나 일부 의혹의 경우 진위가 불명확하다는 판단에 따라 강력 대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여권 내에선 "신 전 차관에게 2003년 6월부터 2009년 8월까지 10여억원을 줬다",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차관의 일본 출장시 400만-500만원 상당의 향응을 제공했다"는 이국철 SLS그룹 회장의 폭로에 대해 정밀한 검증을 해봐야 한다는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근거없는 의혹이나 설(說) 유포에는 정면 돌파해 여론 악화를 조기 차단해야 한다는 주장도 대두되고있다.

실제 의혹의 대상으로 거론된 인사들은 한결같이 "말도 안되는 얘기"라며 강력반발하고 있다.

박 전 차관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 회장을 만나본 적도 없고 전화통화를 한 적도 없다"고 부인했다.

이 회장이 신 전 차관을 통해 상품권을 건넨 것으로 지목된 일부 청와대 참모도 "상품권 번호를 대조해보면 알 것 아니냐"며 법적 대응도 불사하겠다는 반응이다.

민정수석실 공직기강팀은 전날 상품권 수수 의혹을 받고 있는 한 참모에 대한 정밀 조사를 벌여 '전혀 문제없다'는 결론을 내린데 이어 이날 정권 초기 수석비서관을 지낸 다른 인사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10ㆍ26 재보선을 코 앞에 둔 한나라당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잇단 비리의혹으로 `이명박 정부 심판론'이 선거 이슈로 부상할 경우 상황이 녹록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 당직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 회장이 터무니 없는 얘기를 하고 있는데 신빙성이 있다는 근거가 하나도 없다"며 "그의 말 한마디에 당이 춤을 출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다른 당직자도 "검찰이 수사에 들어가는 모양인데, 일단 본인은 부인하고 있지 않느냐"며 유보적인 자세를 취했다.

특임장관을 지낸 이재오 의원은 트위터 글을 통해 "권력에 가까울수록 몸가짐을 바로 해야 한다"며 "비록 지난날 생각없이 한 짓이라도 국민에게 누를 끼치는 일이라면 공직을 스스로 피해야 한다.

더구나 권력을 가까이 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한편 여권 일각에서는 이 회장의 전날 기자회견 장소를 민주당 의원이 주선해줬다는 얘기가 나돌고 있다며 `민주당 배후설'을 제기하기도 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화영 이승우 기자 quintet@yna.co.krlesli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