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교육 125년 노하우가 梨大MBA 최고 자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경희 이화여대 MBA 원장
"이대 출신 사회성 부족? 편견일뿐…산업계서도 인정받는 인재 육성"
"이대 출신 사회성 부족? 편견일뿐…산업계서도 인정받는 인재 육성"
"'소프트파워'가 중시되는 21세기에 여성 기업인 육성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여성 특유의 섬세함과 배려심은 산업계에 새로운 유형의 창의성을 불어넣을 수 있기 때문이죠."
박경희 이화여대 경영전문대학원(MBA) 원장(경영대학장 겸임 · 사진)은 27일 "이화여대 MBA는 보수적이라는 산업계에서도 인정받는 여성 인력들을 육성해 산업계와 사회 전체의 인식을 바꾸는 역할을 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원장은 지난 2월 이화여대 경영대 역사 47년 만에 처음으로 여성 학장으로 임명됐다.
여성으로서 글로벌기업 최고경영자(CEO)가 된 첫 사례로는 1997년 칼리 피오리나 휴렛팩커드(HP) CEO가 꼽힌다.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1979년 취임)보다 18년이나 늦다. 그만큼 산업계는 정계나 법조계 등 다른 분야보다도 여성에게 더욱 문호가 좁다. 박 원장은 "사회적 약자에게 가장 마지막으로 돌아오는 자원이 바로 돈"이라며 "돈과 관련된 경제 · 경영 분야가 여성에게 가장 늦게 열리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산업계에서 여성의 활동 무대를 넓히는 역할도 이화여대가 가장 잘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 원장은 "대한민국 근대 여성 교육을 이끌어온 이화여대의 125년 노하우는 다른 대학 MBA들과는 차별화되는 중요한 자산"이라며 "결혼과 육아 등의 부담을 안고 있는 여성에게 특화된 MBA 교육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화여대 졸업생들이 직장에서 사회성이 부족하다는 것은 일종의 편견이라고 박 원장은 지적했다. 그는 "취업 직후 1~2년은 남학생들과 생활해본 경험이 있는 남녀공학 출신 여학생들이 잘 적응하는 것처럼 보이는 게 사실"이라며 "하지만 4년 정도 지나면 평가가 역전된다는 것 또한 인사담당자들의 공통된 평가"라고 소개했다. 여성으로서의 주체적인 교육을 제대로 받은 덕분이라는 것이다.
이화여대 MBA는 글로벌 회계그룹인 KPMG,씨티은행그룹 등과 공동으로 교육과정을 만들었다. 각 기관의 임원급을 강사로 초빙한다. 남성 실무진을 학생들의 멘토로 활용하며 여학생만으로 구성되는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박 원장은 "여성 인력 활용 가능성을 체감한 글로벌 기업들이 먼저 손을 내밀어 공동 프로그램이 마련됐다"며 "앞으로 산업계에 창의성과 다양성을 더하는 인재를 배출하는 특성화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