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속보]경찰이 사이버범죄 전담 수사요원 20명을 특별채용한다.경찰청은 27일부터 오는 29일까지 3일 간 해킹·악성코드,디지털포렌식(감식) 등 수사분야에서 활동할 전문가 특채 원서접수를 진행한다.20~40대 정보보안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다.지원 대상은 △정보처리 관련 자격증 보유자 중 국가·연구기관,민간업체 전산 업무 3년 이상 경력자 △전산 관련 전공자 중 국가·연구기관,민간업체 전산 업무 2년 이상 경력자 △전산 관련 전공 학·석사 학위 취득자 등이다.

해킹·악성코드 6명,디지털포렌식 4명,시스템·네트워크엔지니어링 3명,데이터베이스 2명,무선통신 2명, 프로그래밍 2명,장애인 1명을 선출한다.공통분야는 △네트워크 이론 △프로그래밍 기초 △정보보안 등이다.이 외에 각자의 전문분야에서 △실기시험 △서류전형 △체력검정 △적성검사 △면접을 거쳐야 합격한다.합격자는 12월16일 발표한다.

합격하면 경장급으로 임용한다.서울·부산·대구·인천·울산·경기·강원 등 12개 지역에 분산 배치한다.임용 후 5년 동안 사이버수사 분야에 의무 복무해야 한다.해당 기간 전보는 제한한다.경찰이 ‘사이버전사 외부수혈’이라는 특단의 조치를 내린 이유는 고질병인 인력 부족 때문이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윤상일 미래희망연대 의원이 최근 10년간 사이버범죄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2001년 3만2000여건이었던 사이버범죄는 2009년 16만4500건으로 폭증했다.반면 창설 당시 72명이었던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 인원은 64명으로 줄어들었다.

사이버테러대응센터 홈페이지는 일명 ‘화면 해킹’에도 무방비 상태다.행안위 소속 김태원 한나라당 의원이 최근 국정감사에서 시연한 결과 사이버테러대응센터 홈페이지는 물론 경찰의 형사사법 포탈인 킥스(Kics)도 해킹에 뚫렸다.경찰청 관계자는 “사이버 범죄가 잦아지면서 일반 경찰에서 전문 인력으로 점차 대체하고 있다”며 “전문 인력이 늘어나면 그만큼 범죄 대응 역량이 강화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선주 기자 sak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