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속보]양건 감사원장이 국회 국정감사에서 자신들에게 불리한 자료 제출을 거부해 논란이 되고 있다.

29일 서울 삼청동 감사원에서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감사원 국정감사에서 정갑윤 한나라당 의원은 특수활동비 산정 기준과 핫라인(비상연락망)을 통해 양 원장에게 접수된 부당 압박 사례에 대한 통계를 요청했다.감사원은 지난 7월 은진수 전 감사위원의 저축은행 비리 연루를 계기로 자체 개혁 방안을 발표했다.이 때 양 원장은 실무 감사관이 상부로부터 감사 방향이나 결과에 대한 부당한 압박을 받을 경우 원장에게 직접 연락할 수 있는 핫라인을 개설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양 원장은 두 자료에 대한 제출을 거부했다.양 원장은 “특수활동비 사용 내역은 법적으로 공개할 필요가 없고,핫라인을 통해 접수받은 내용은 제보자의 신상에 위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어 공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정 의원측은 “2008년 감사원 회계결산 과정에서 특수활동비가 문제가 됐고 당시 감사원은 특수활동비를 7개 세부 항목으로 나누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며 “이 약속을 지켰는지 확인하기 위해 7개 항목이 뭔지 문의한 것이지 어떻게 썼는지는 요청하지 않았다”고 말했다.또 “핫라인 접수 건수는 감사원이 자체 개혁 방안으로 내놓은 만큼 잘 시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내용이 아닌 접수 건수만 요청했는데 감사원은 이와 관련된 일체의 정보 공개를 거부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감사원의 대응이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장영수 고려대 교수(법대)는 “예산통제는 국회의 고유 업무인 만큼 특수활동비 산정 기준 정도는 제출하는 것이 맞다”며 “핫라인 접수 내역도 개인에게 피해가 가지 않고 요청에 타당한 근거가 있으면 공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남윤선 기자 inkling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