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한류 브랜드로 떠오른 '한국형 전자정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IT·재난관리 결합…세계서 주목
국익 창출로 연결시키는 게 과제
맹형규 < 행정안전부 장관 >
국익 창출로 연결시키는 게 과제
맹형규 < 행정안전부 장관 >
자연재해로 지구촌이 매년 몸살을 앓고 있다. 작년 한 해 동안 385개 지역에서 지진이나 해일,토네이도로 인한 자연재해가 발생했다. 이로 인한 피해 금액은 1239억달러(134조원),사망자는 무려 29만7000여명에 이른다.
또 자연재해의 후폭풍으로 전 세계 인구의 3%에 해당하는 2억1700만여명이 콜레라 이질 등 각종 질병에 감염된 것으로 조사됐다.
자연재해의 피해는 가공할 만하다. 지난 3월 일본 동북지역에 발생한 대지진과 연이은 쓰나미의 피해액만 무려 17조엔(226조원)으로 추산된다. 재해예방 선진국인 일본에서도 이 사건으로 모두 1만5700여명이 사망했다. 그렇다면 이 같은 자연 재앙을 정보통신기술(ICT)로 예방할 방법은 없는 것일까.
최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인텔 개발자포럼에서는 이와 관련해 매우 고무적인 논의가 있었다. 밥 마셜 어스 네트워크(Earth Network) 최고경영자는 "지난해 러시아에서 있었던 이상 고온 현상의 경우 이미 30~40일 전에 충분히 예측이 가능했다"며 슈퍼컴퓨팅으로 기후 모델과 센싱 기술을 결합한 재해 예측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어스 네트워크의 경우 기상관측을 위해 전 세계에 약 8000개의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재해 예측을 위한 정보기술(IT)의 진화는 계속되고 있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기상 네트워크 센터는 과학적 데이터를 통해 재해를 방지할 수 있는 대안이 되기에 대부분의 국가들이 관심을 갖는다.
그러나 심각한 자연 재해가 되풀이되는 상당수 나라들은 안타깝게도 정보화 인프라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일부 선진국에서 재해 예보를 알려준다고 해도 이를 받아 재해 예상 지역 주민에게 전파할 수 있는 방법이 마땅치 않은 셈이다.
상당수 아프리카 국가들은 전자정부의 기초인 주민등록 전산화조차 실시할 여건이 못 된다. 따라서 IT를 통한 재난 관리에는 통신 인프라 구축과 국민 정보화가 함께 이뤄져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뒤따른다. 전자정부와 IT 재난관리 시스템은 별개의 것이 아니다. 이 두 개는 한 묶음으로 가야만 효율적이다. 또 어느 한쪽이 기울면 다른 쪽도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인텔 개발자포럼은 IT를 활용한 재해 관리 시스템이 구축되면 피해를 30분의 1 정도로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전자정부와 결합한 IT 재난관리 시스템이 새로운 '블루 오션'으로 떠오를 것임을 알려주는 대목이다. 다행히 우리 정부는 이미 명품 반열(유엔 전자정부 평가 세계 1위)에 오른 전자정부를 실현하고 있다. IT 재난관리 시스템 개발과 구축에도 앞서가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28일 이탈리아 행정혁신부와 정보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고,30일에는 터키 내무부와 회담을 갖고 전자정부 협력방안을 논의한다. G7 국가인 이탈리아나 새롭게 경제 강자로 부상하고 있는 터키가 한국형 전자정부에 관심을 갖는 것은 그만큼 우리의 실력이 선도적이기 때문이다. 기독교 문명(이탈리아)과 이슬람 문명(터키)의 허브인 두 나라가 우리와 협력하는 것은 상징성도 적지 않다.
행안부는 국제사회에 불고 있는 한류 전자정부 열풍에 발맞춰 한국형 전자정부의 외연(outreach)을 확대하고 국익 창출을 위한 수출 증대에 적극 노력하고 있다. 이번 이탈리아,터키와의 협력 추진도 이런 노력의 일환이다. 이제 한국형 전자정부는 모든 국가가 벤치마킹을 하고자 하는 하나의 브랜드로 이미지를 굳히고 있다.
앞으로 자연재해가 발생할 때마다 세계인이 한국형 전자정부 및 재난관리 시스템을 저절로 떠올리도록 만드는 것이 바로 '한류 한국''IT강국 한국'의 이미지를 세계인의 머릿속에 각인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또 자연재해의 후폭풍으로 전 세계 인구의 3%에 해당하는 2억1700만여명이 콜레라 이질 등 각종 질병에 감염된 것으로 조사됐다.
자연재해의 피해는 가공할 만하다. 지난 3월 일본 동북지역에 발생한 대지진과 연이은 쓰나미의 피해액만 무려 17조엔(226조원)으로 추산된다. 재해예방 선진국인 일본에서도 이 사건으로 모두 1만5700여명이 사망했다. 그렇다면 이 같은 자연 재앙을 정보통신기술(ICT)로 예방할 방법은 없는 것일까.
최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인텔 개발자포럼에서는 이와 관련해 매우 고무적인 논의가 있었다. 밥 마셜 어스 네트워크(Earth Network) 최고경영자는 "지난해 러시아에서 있었던 이상 고온 현상의 경우 이미 30~40일 전에 충분히 예측이 가능했다"며 슈퍼컴퓨팅으로 기후 모델과 센싱 기술을 결합한 재해 예측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어스 네트워크의 경우 기상관측을 위해 전 세계에 약 8000개의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재해 예측을 위한 정보기술(IT)의 진화는 계속되고 있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기상 네트워크 센터는 과학적 데이터를 통해 재해를 방지할 수 있는 대안이 되기에 대부분의 국가들이 관심을 갖는다.
그러나 심각한 자연 재해가 되풀이되는 상당수 나라들은 안타깝게도 정보화 인프라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일부 선진국에서 재해 예보를 알려준다고 해도 이를 받아 재해 예상 지역 주민에게 전파할 수 있는 방법이 마땅치 않은 셈이다.
상당수 아프리카 국가들은 전자정부의 기초인 주민등록 전산화조차 실시할 여건이 못 된다. 따라서 IT를 통한 재난 관리에는 통신 인프라 구축과 국민 정보화가 함께 이뤄져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뒤따른다. 전자정부와 IT 재난관리 시스템은 별개의 것이 아니다. 이 두 개는 한 묶음으로 가야만 효율적이다. 또 어느 한쪽이 기울면 다른 쪽도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인텔 개발자포럼은 IT를 활용한 재해 관리 시스템이 구축되면 피해를 30분의 1 정도로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전자정부와 결합한 IT 재난관리 시스템이 새로운 '블루 오션'으로 떠오를 것임을 알려주는 대목이다. 다행히 우리 정부는 이미 명품 반열(유엔 전자정부 평가 세계 1위)에 오른 전자정부를 실현하고 있다. IT 재난관리 시스템 개발과 구축에도 앞서가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28일 이탈리아 행정혁신부와 정보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고,30일에는 터키 내무부와 회담을 갖고 전자정부 협력방안을 논의한다. G7 국가인 이탈리아나 새롭게 경제 강자로 부상하고 있는 터키가 한국형 전자정부에 관심을 갖는 것은 그만큼 우리의 실력이 선도적이기 때문이다. 기독교 문명(이탈리아)과 이슬람 문명(터키)의 허브인 두 나라가 우리와 협력하는 것은 상징성도 적지 않다.
행안부는 국제사회에 불고 있는 한류 전자정부 열풍에 발맞춰 한국형 전자정부의 외연(outreach)을 확대하고 국익 창출을 위한 수출 증대에 적극 노력하고 있다. 이번 이탈리아,터키와의 협력 추진도 이런 노력의 일환이다. 이제 한국형 전자정부는 모든 국가가 벤치마킹을 하고자 하는 하나의 브랜드로 이미지를 굳히고 있다.
앞으로 자연재해가 발생할 때마다 세계인이 한국형 전자정부 및 재난관리 시스템을 저절로 떠올리도록 만드는 것이 바로 '한류 한국''IT강국 한국'의 이미지를 세계인의 머릿속에 각인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