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바람 불기 시작하는 가을인데 모기가 극성을 부리고 있다. 한여름인 7, 8월에도 좀처럼 보이지 않았던 모기가 가을이 되자 부쩍 늘었다. 주부 최민주(38·여) 씨는 밤마다 잠에서 깨어 모기 잡기에 열을 올린다. 이렇게 잠이 들고 깨기를 수차례, 모기에 뜯긴 부위가 간지러워 벅벅 긁으며 뜬눈으로 밤을 지샌 적도 있다. 최씨의 두 아이들도 마찬가지. 왱왱대는 모기 등쌀에 벌써 팔, 다리, 얼굴 할 것 없이 수십 군데를 물려 벌겋게 퉁퉁 부어올랐다. 밤마다 모기 스프레이를 듬뿍 뿌리고, 전자 모기향까지 피워놓고 잠을 청하지만 모기 극성은 여전했다. 밤마다 귓전에서 왱왱~대는 모기 때문에 때아닌 모기 퇴치 제품들이 호황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모기퇴치용 스프레이, 모기향, 전자모기향 등을 과다 사용할 경우 호흡기 및 피부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게다가 아이들의 경우 가려움을 참지 못하고 긁을 경우, 심한 상처와 2차 세균감염의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모기살충제, 모기도 잡고 ‘사람’도 잡는다! 모기에게 즉효를 나타내는 살충제 성분의 모기약이 과연 인체에는 무해할까? 요즘 많이 쓰는 모기 스프레이, 전자모기향 등은 냄새도 안 나고 눈과 목에도 자극이 없어 무해한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이들 모기약 성분은 살충제 성분으로 쉽게 말하면 농약 성분과 같다. 더욱이 일부 제품에 포함된 퍼메트린이나 사이퍼메트린 성분은 환경부에서 지정한 환경호르몬 중 하나. 때문에 아무리 그럴듯하게 광고를 해도 인체에 무해하지 않고, 특히나 아이들방에는 안심하고 사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일반 모기약을 좁은 공간에서 사용할 때는 반드시 환기시킬 것을 당부한다. 모기로부터는 안심할지언정 그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모기약을 밀폐된 곳에서 사용할 경우 재채기·두통·구역질을 일으킬 수 있으며 비염·천식 환자는 증세가 악화될 수 있다. 또한 피부에 뿌리는 모기 퇴치제는 민감해진 피부에 뿌리거나 농도를 높게 쓸 경우 붉은 반점 등의 피부 부작용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모기약을 사용할 경우 반드시 환기를 시키고 피부에 닿았을 때는 바로 비눗물로 씻어줘야 한다. 특히 24시간 내내 전자모기향을 켜놓는 집이 많은데 낮은 농도라도 장시간 노출되면 두통, 현기증 등의 증세를 일으킬 수 있다. 더구나 가을엔 여름보다 환기에 소홀해질 수밖에 없어 더욱 주의해야 한다. 모기 물렸을 땐 침이 명약? 모기에 물렸을 때 약이 없으면 우선 침부터 바르는 사람들이 많다. 알칼리성 물질인 침이 산성인 모기침에서 분비되는 액을 중화시켜 가렵지 않게 만든다는 것인데 이는 매우 위험하다. 침은 순간적인 가려움만 없앨 뿐이며 오히려 침속에 내재돼 있는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등이 상처를 악화시킬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모기에 물렸을 때는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은 후 얼음찜질로 혈액순환을 억제하거나 알칼리성 용액인 묽은 암모니아수를 바르는 것이 좋다.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 모기물린데 바르는 스틱형 연고를 발라도 된다. 모기물린 상처, 가렵다고 벅벅 긁으면 흉져요! 모기에 물린 뒤에는 긁지 말아야 한다. 심한 가려움증으로 긁게 되면 붓고 염증이 생기며 나중에색소침착 흉터가 남는 경우가 많다. 또 세균에 감염될 위험도 있다. 간혹 모기 물린 곳에 침을 바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금하는 것이 좋다. 침에 들어있는 세균이 상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어서다. 긁어서 생긴 흉터는 주로 다른 부위보다 건조한 팔이나 다리에 생기기 쉽다. 모기에 물린 후 생긴 색소침착 흉터는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흐려지다가 6개월에서 1년 사이에 완전히 없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헤모시데린이 침착된 경우엔 그 모기물린 자국이 없어지지 않고 남게 된다. 모기 물린 상처를 심하게 긁으면 혈관벽이 약해지게 된다. 이 때 혈액 속의 헤모시데린이 피부 조직에 스며들어 거무스름한 자국을 남기게 된다. 이 흉터는 색소침착과는 다르게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는다. 이런 경우엔 흉터를 없어기 위해서는 전문 치료가 필요하다. 보통 레이저토닝과 옐로우 레이저가 매우 효과적이다. 레이저 토닝은 순간적인 고출력 파워로 피부표재층 색소만을 선택적으로 파괴하여 제거한다. 또한 시술 통증도 거의 없어 불편함 없이 짧은 시간에 집중적인 시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옐로우 레이저는 피부의 색소 치료에 효과적이며, 레이저 파장이 표피는 상하게 하지 않고 진피층에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일반 레이저 시술 후 흔히 볼 수 있는 화끈거림이나 흉터, 딱지 등이 생기지 않는다. 1~3회 정도 받으면 흉터가 옅여진다. 모기에게 물리지 않으려면 모기는 특히 땀냄새가 많이 나거나 향수 바른 사람을 좋아해 이들을 주로 공격한다. 따라서 모기에 물리지 않으려면 몸을 깨끗이 씻어 냄새를 없앤 뒤 청결을 유지하고 향수나 화장품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무엇보다 모기가 집에 들어오지 않도록 원천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기는 2mm 정도의 틈만 있어도 몸을 절반 정도로 오므려 비집고 들어온다. 집 안 창문 등에 설치한 방충망에 구멍이 있는지 확인하고, 싱크대 하수구 등을 타고 올라오기도 하므로, 저녁엔 뚜껑을 덥어두는 것도 방법이다. 또한 출입문에 붙어 있다가 사람이 문을 열면 그 사이에 들어오기도 하므로 모기약을 출입문 주변에 미리 뿌려둔다. 모기에 물렸을 때는 침을 바르는 경우가 있는데, 덜 가렵긴 하지만 침 속에 있는 균에 의해 상처 부위의 2차 감염 가능성이 있으므로 물로 깨끗이 씻는 것이 좋다. 가려움증을 없애려면 물린 부위를 찬물에 깨끗이 씻고 물파스 등을 바르는 것이 도움이 된다. 물파스에는 가려움증을 완화시켜주는 항히스타민제와 염증을 줄이는 소염제가 첨가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바르는 물파스 제품들(버물리, 계안, 키드에이 등)은 경련의 위험성 때문에 만 30개월 이상 소아에게만 쓸 수 있다. 그 이하의 연령이라면 물린 자리에 얼음찜질을 해준다. 모기에게 물리지 않으려면 모기는 특히 땀냄새가 많이 나거나 향수 바른 사람을 좋아해 이들을 주로 공격한다. 따라서 모기에 물리지 않으려면 몸을 깨끗이 씻어 냄새를 없앤 뒤 청결을 유지하고 향수나 화장품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무엇보다 모기가 집에 들어오지 않도록 원천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기는 2mm 정도의 틈만 있어도 몸을 절반 정도로 오므려 비집고 들어온다. 집 안 창문 등에 설치한 방충망에 구멍이 있는지 확인하고, 싱크대 하수구 등을 타고 올라오기도 하므로, 저녁엔 뚜껑을 덥어두는 것도 방법이다. 또한 출입문에 붙어 있다가 사람이 문을 열면 그 사이에 들어오기도 하므로 모기약을 출입문 주변에 미리 뿌려둔다. 장익경기자 ikjang@wowtv.co.kr 한국경제TV 주요뉴스 ㆍ커피원산지 허위표시? `이렇게 해도 된다더니` ㆍ"스마트TV, 스마트하게 활용하려면...한국경제TV앱을 깔아보세요" ㆍ"절벽으로 아내 밀었던 남편...징역 몇년?" ㆍ[포토]허경영 공중부양의 비밀 밝혔다더니... 황당한 이색마케팅 눈길 ㆍ[포토]"헉, 레알 한효주야?" 과거사진 공개에 깜짝 놀란 네티즌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장익경기자 ikjang@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