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동의 월요전망대] 외환보유액 3000억 달러 무너졌을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준동 경제부 차장 / 금융팀장 jdpower@hankyung.com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한국의 환율제도는 여러차례 바뀌었다. 처음엔 고정환율제를 채택했으나 1964년 변동환율제로 전환했다.
당시 말은 변동환율제였지만 1970년대 말까지는 환율을 미국 달러에 고정(peg)시켰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변동환율제는 아니었다.
1970년대 석유파동으로 인해 무역수지 적자가 커져 환율제도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자 1980년 복수통화바스켓제도가 도입됐다. 제한적이긴 하지만 시장 수급에 의해 환율이 결정되는 시장평균환율제도는 1990년 시작됐으며 환율변동폭 제한을 없애고 지금처럼 자유변동환율제로 이행한 것은 외환위기 당시였던 1997년 12월이었다.
자유변동환율제는 한국에 적잖은 도움을 주고 있다. 2008년 9월 리먼 브러더스가 파산한 뒤 세계 경제가 곤두박질쳤지만 한국은 원 · 달러 환율이 1000원 수준에서 1600원 근처까지 뛰면서 수출이 급증해 금융위기를 상대적으로 일찍 극복할 수 있었다. 지난 7월 말부터 유럽 재정위기가 다시 문제되자 환율은 1050원 근처에서 1200원 근처까지 치솟았다. 이는 하반기 무역수지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자유변동환율제는 그러나 부작용도 만만찮다. 당장 물가에 영향을 미친다. 대외거래 비중이 높은 한국은 환율이 오르면 수입물가가 뛰고,생산자물가를 거쳐 최종적으로 소비자물가가 상승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외환당국은 환율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점검해 환율이 적정 수준에서 움직이도록 조절해 오고 있다.
외환당국은 지난달 추석연휴 이후엔 환율이 지나치게 가파르게 오른다고 판단,달러를 팔고 원화를 사는 거래를 단행했다. 당국이 달러를 매도하면 외환보유액이 줄어들게 된다. 지난 8월 말 현재 외환보유액은 3122억달러였지만 당국의 시장개입으로 인해 9월 말 외환보유액은 3000억달러 아래로 줄었을 것이란 관측이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당국은 3000억달러를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 얘기해 왔는데 누구 말이 맞을지는 5일 한국은행의 발표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4일 통계청이 공표하는 '9월 소비자물가'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소비자물가상승률(전년 동기 대비)은 지난 5월 4.1%에서 6월 4.4%,7월 4.7%,8월 5.3% 등으로 뜀박질을 계속했다. 원유를 포함한 원자재가격 상승과 이상기후에 따른 농산물가격 급등이 원인이었다. 지난달엔 농산물가격이 하향 안정세로 돌아선 만큼 소비자물가 상승폭은 5% 안팎으로 둔화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
물가는 9월도 그렇지만 10월부터 문제가 커질 수 있다. 환율이 상승세로 돌아선 것이 10월부터 본격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골드만삭스 분석에 따르면 환율이 3% 오르면 소비자물가는 2~3개월 뒤 0.2%포인트 오른다.
월평균 환율을 보면 7월 1058원49전에서 8월 1074원5전,9월 1125원9전 등으로 상승했다. 9월 환율은 7월 환율에 비해 6.3% 올랐다. 농산물 가격 안정 효과가 환율 악재에 가려질 가능성이 공산이 커 보인다.
최근 경기 움직임에 대한 정부의 공식 평가는 오는 6일 기획재정부의 '최근 경제동향(일명 그린북)에 나온다.
9월 그린북에선 물가보다 경기 불확실성을 강조,기준금리 동결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우회적으로 피력했다. 경기 둔화로 인해 은행의 대출채권 연체율이 어느 정도 높아졌을지는 4일 금융감독원의 자료에서 볼 수 있다.
당시 말은 변동환율제였지만 1970년대 말까지는 환율을 미국 달러에 고정(peg)시켰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변동환율제는 아니었다.
1970년대 석유파동으로 인해 무역수지 적자가 커져 환율제도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자 1980년 복수통화바스켓제도가 도입됐다. 제한적이긴 하지만 시장 수급에 의해 환율이 결정되는 시장평균환율제도는 1990년 시작됐으며 환율변동폭 제한을 없애고 지금처럼 자유변동환율제로 이행한 것은 외환위기 당시였던 1997년 12월이었다.
자유변동환율제는 한국에 적잖은 도움을 주고 있다. 2008년 9월 리먼 브러더스가 파산한 뒤 세계 경제가 곤두박질쳤지만 한국은 원 · 달러 환율이 1000원 수준에서 1600원 근처까지 뛰면서 수출이 급증해 금융위기를 상대적으로 일찍 극복할 수 있었다. 지난 7월 말부터 유럽 재정위기가 다시 문제되자 환율은 1050원 근처에서 1200원 근처까지 치솟았다. 이는 하반기 무역수지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자유변동환율제는 그러나 부작용도 만만찮다. 당장 물가에 영향을 미친다. 대외거래 비중이 높은 한국은 환율이 오르면 수입물가가 뛰고,생산자물가를 거쳐 최종적으로 소비자물가가 상승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외환당국은 환율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점검해 환율이 적정 수준에서 움직이도록 조절해 오고 있다.
외환당국은 지난달 추석연휴 이후엔 환율이 지나치게 가파르게 오른다고 판단,달러를 팔고 원화를 사는 거래를 단행했다. 당국이 달러를 매도하면 외환보유액이 줄어들게 된다. 지난 8월 말 현재 외환보유액은 3122억달러였지만 당국의 시장개입으로 인해 9월 말 외환보유액은 3000억달러 아래로 줄었을 것이란 관측이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당국은 3000억달러를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 얘기해 왔는데 누구 말이 맞을지는 5일 한국은행의 발표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4일 통계청이 공표하는 '9월 소비자물가'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소비자물가상승률(전년 동기 대비)은 지난 5월 4.1%에서 6월 4.4%,7월 4.7%,8월 5.3% 등으로 뜀박질을 계속했다. 원유를 포함한 원자재가격 상승과 이상기후에 따른 농산물가격 급등이 원인이었다. 지난달엔 농산물가격이 하향 안정세로 돌아선 만큼 소비자물가 상승폭은 5% 안팎으로 둔화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
물가는 9월도 그렇지만 10월부터 문제가 커질 수 있다. 환율이 상승세로 돌아선 것이 10월부터 본격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골드만삭스 분석에 따르면 환율이 3% 오르면 소비자물가는 2~3개월 뒤 0.2%포인트 오른다.
월평균 환율을 보면 7월 1058원49전에서 8월 1074원5전,9월 1125원9전 등으로 상승했다. 9월 환율은 7월 환율에 비해 6.3% 올랐다. 농산물 가격 안정 효과가 환율 악재에 가려질 가능성이 공산이 커 보인다.
최근 경기 움직임에 대한 정부의 공식 평가는 오는 6일 기획재정부의 '최근 경제동향(일명 그린북)에 나온다.
9월 그린북에선 물가보다 경기 불확실성을 강조,기준금리 동결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우회적으로 피력했다. 경기 둔화로 인해 은행의 대출채권 연체율이 어느 정도 높아졌을지는 4일 금융감독원의 자료에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