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미디어 TV리포트와 한경닷컴, 스타뉴스, 한국편집기자협회, 한국아나운서연합회 등은 자살방지를 위한 ‘함께 사는 아름다운 한국’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우리 국민을 자살로부터 멀어지게 하고 희망과 사랑이 넘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진행중인 이 캠페인은 미스코리아 모임 녹원회가 홍보대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효리 하지원, 임창정, 이정진, 김창렬, 토니안, 타이거JK, 가수 비(정지훈), 정석원, 박재정 등 유명스타 및 민경욱 KBS 1TV '9뉴스' 앵커, 한국 홍보 전문가 서경덕 객원교수도 동참했다. 이번 인터뷰에는 영화 ‘써니’로 큰 인기몰이를 한 민효린이 참여했다. [편집자주]

- 자살에 대한 의견과 왜 자살이 발생한다고 생각하는지.

▶자살만큼 안타까운 일이 없는 것 같아요. 자살이란 큰 용기가 필요한 것이란 생각이 드는데 그 용기로 힘든 일을 극복하면 된다고 생각해요.누구나 한 번쯤은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하는 것 같아요. 하지만 그것은 순간일 뿐인데, 그 순간을 못 넘기고 안타깝게 자살을 하는 것이라 생각해요. 그 순간을 넘기는 것이 중요하죠.

- 연예인들 중에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왜 그렇다고 생각하나.

▶사실 연예인이란 직업이 우울증에 걸리기 쉬운 것 같아요. 언제 작품에 들어가는지, 사람들의 반응은 어떤지 등등 주변 환경 하나하나에 전부 자극을 받기 때문에 더욱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되는 것 같아요. 그리고 연예인 중에 성격이 민감한 사람들도 많고요.

- 민효린 씨도 삶을 포기하고 싶을 정도로 힘든 때가 있었는지.

▶저도 우울증에 걸린 적이 있었죠. 그렇게 큰 우울증은 아니었지만 ‘죽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죠. 자살을 시도하지는 않았지만 모든걸 포기하고 싶었어요. ‘내가 지금 뭐하고 있나’는 생각도 들고 ‘그냥 포기하면 편할까’라는 생각도 했었어요. 누구나 한번쯤 생각하는 그런거요.

- 우울증을 극복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그 순간 부모님 얼굴을 떠올렸어요. 친척들 얼굴도 떠올리고 친구들 생각을 했어요. 내가 지금 자살하면 부모님이 얼마나 괴로워하실까, 내 친구들이 얼마나 슬퍼할까, 이런 생각을 하니까 ‘이러면 안돼’라는 생각이 들고, 그런 생각조차 불순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부모님보다 먼저 죽는 것만큼 큰 불효가 없다잖아요. 부모님을 생각하면 제 몸을 다치는 일조차 불효라고 생각해요.

-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은.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기 전에 주변을 돌아보세요. 부모님, 친척, 친구 등등 자기와 연결된 사람들을 떠올려보세요. 자살을 하면 그냥 나만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나로 인해 내 주변 사람들이 정말 많이 슬퍼한다고 생각해보세요. 심지어 자살한 사람을 따라 자살하는 일들도 발생하잖아요. 자살은 그냥 자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더 큰 문제와 슬픔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 앞으로의 활동 계획은?

▶지금은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촬영중에 있습니다. 차태현 오빠의 상대역으로 예쁜 해녀로 등장해요. 스토리를 전개하는데 중요한 키를 지닌 인물로 즐겁게 촬영하고 있습니다. 내년에 개봉 예정인데 멋진 연기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함께사는 아름다운 한국' 캠페인 취재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