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을 향한 관세 부과를 명령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다음은 백악관 홈페이지에 게시된 행정명령 전문.===저는 미국의 대통령으로서 헌법과 국제긴급경제권한법(50 U.S.C. 1701 et seq.) (IEEPA), 국가비상사태법(50 U.S.C. 1601 et seq.) (NEA), 1974년 무역법 제604조 개정판(19 U.S.C. 2483), 및 제목 3의 섹션 301에 따라 부여된 권한을 이용하여,도널드 J. 트럼프, 미국의 대통령으로서, 지속적인 불법 오피오이드 및 기타 약물의 유입이 우리 국가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고 있으며, 생명을 위협하고 우리 의료 시스템, 공공 서비스, 및 지역사회에 심각한 부담을 주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합니다.이 문제는 우리 사회의 구조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갱단원, 밀수범, 인신매매업자 및 모든 종류의 불법 약물이 우리 국경을 넘어 지역사회로 유입되고 있습니다. 캐나다는 이 문제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효과적으로 불법 약물의 유입을 막기 위한 적절한 주의와 자원을 배분하거나 미국 법 집행 기관과 실질적으로 협력하지 못하고 있습니다.마약 밀매 조직(DTOs)은 펜타닐, 메스암페타민, 코카인 및 기타 불법 약물의 세계적인 생산자이며, 미국의 지역사회에서 중독과 폭력을 조장하는 거대한 양의 마약을 재배, 가공 및 유통합니다. 이 DTO들은 종종 초국적 카르텔과 협력하여 불법 약물을 미국으로 밀반입하며, 비밀 공항, 해양 경로 및 육상 경로를 활용합니다.남부 국경에서의 도전 과제가 대중의 의식에 가장 잘 알려져 있지만, 북부 국경에서도 이러한 문제는 면제되지 않습니다. 범죄 네트워크는 인신매매 및 밀수 작전과 관련이 있으며, 효과적인
마이크로소프트(MS)의 공동창업자인 빌 게이츠가 가상자산의 쓸모에 대해 “전혀 없다”고 평가했다. 그는 현재 1650억달러(약 240조원)의 재산을 가진 세계 8위의 부호다.2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게이츠는 자신의 자사전 '소스 코드(Source Code):나의 시작(My Beginnings)' 출간을 앞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가상자산에 관련한 질문을 받고 이 같이 답했다. 그러면서 “높은 아이큐를 가진 사람들이 그 문제에 대해 스스로를 속이고 있다”고 말했다.이전에도 게이츠는 가상자산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드러낸 바 있다. 대중의 투기심리로 인해 자산의 가치가 계속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설명하는 ‘더 멍청한 바보 이론(the greater-fool theory)’에 빗대기도 했고, 대표적인 가상자산이 비트코인을 채굴하기 위한 에너지 소비가 기후변화를 가속화할 수 있다는 취지로 비판한 바도 있다.올해 만 70세가 된 게이츠가 이번에 내놓는 자서전은 3부작 중 첫 번째다. 게이츠는 지난 미국 대선 국면에서 카멀라 해리스 전 부통령을 지지한 바 있다. 이전까지 민주당 후보를 지지했던 다른 테크 억만장자들이 이번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쪽으로 돌아선 것과 다른 행보였다고 NYT는 평가했다.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뒤에는 그와 독대하기도 했다. 게이츠는 작년 12월 27일 트럼프 저택이 있는 플로리다주 마러라고에서 트럼프와 단둘이 3시간 저녁을 먹으며 "주로 에이즈(AIDS)와 소아마비 같은 전 세계적 보건 이슈에 대해 주로 대화를 나눴고, 트럼프는 큰 관심을 보였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인터뷰에서 말한 바 있다.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챗GPT를 개발한 오픈AI의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이 회사의 전략 방향을 오픈소스로 전환할 가능성을 언급했다.오픈AI는 초기엔 비영리 연구소로 출발해 오픈소스 전략을 펼쳤지만, 점차 폐쇄적·독점적인 사업모델을 구축해왔다. 하지만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저비용으로 개발한 AI 모델 R1이 오픈AI의 AI 모델과 맞먹는 성능을 보여주면서 오픈AI가 도전에 직면했다는 평가가 나온다.2일 뉴스1 등에 따르면 올트먼을 비롯한 오픈AI 주요 임원진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열린 레딧 '뭐든지 물어봐'(AMA) 행사에서 오픈소스 전략 관련 질의를 받고 "역사의 잘못된 편에 서 있었다"고 언급했다.올트먼은 "우리는 다른 형태의 오픈소스 전략을 만들어낼 필요가 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고 말헀다.오픈AI의 최고제품책임자(CPO) 케빈 웨일도 "구형 AI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다만 올트먼은 오픈소스 전략에 대해 “오픈AI 모든 구성원이 공유하는 사안을 아니며 현재 우리의 최우선 사항도 아니다”며 당장의 전환 가능성엔 선을 그었다.딥시크의 부상으로 오픈AI의 우위가 약화됐다는 점을 올트먼은 인정했다. 그는 "우리는 더 나은 모델을 만들 것이지만 지난 몇 년간 유지해 온 (기술 등의) 우위는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챗GPT 구독료를 인상할 계획이 없다. 오히려 더 저렴하게 제공하고 싶다"고 했다.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