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년 군사동맹 넘어선 큰 전기…일자리 늘려 빈부격차 줄이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미 정상회담 - 양국 기업인 오찬
이명박 대통령은 한 · 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해 "일자리를 만들어 일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격차를 줄이는 기본이다. 그런 점에서 한 · 미 FTA가 일자리를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을 국빈방문 중인 이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워싱턴 시내 윌러드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한 · 미 두 나라 기업인들이 참석한 최고경영자(CEO) 라운드테이블과 오찬간담회를 갖고 "21세기 당면 과제들이 많지만 빈부 격차 문제가 심각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양국 간 FTA는 기업인에게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 근로자들에게,중소상공인에게,약자층에 있는 소상공인 소비자에게,일자리를 찾고 있는 사람들에게 매우 기여할 것이란 점에서 우리는 자신있게 FTA를 추진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FTA를) 반대하는 분들도 많이 있다"며 "FTA가 비준되고 나서 양국 기업인들이 실질적 효과를 보여주면 아마 반대하는 분들도 FTA가 이런 결과를 가져온다는 데 대해 긍정적 생각으로 바뀔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FTA를 통해) 미국과는 동맹 관계를 넘어 여러 측면에서 강한 관계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세계 경제,세계 평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한 · 미 FTA는) 1953년 한 · 미 군사동맹 이후에 크나큰 전기를 맞는 것이다.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유럽발 세계 재정위기와 관련,"우선 그리스 위기 해결에 대한 확신을 세계에 보여줘야 한다는 책임이 유럽연합(EU)에 있다"고 말했다.
이날 한 · 미CEO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한 미국 주요 기업 경영자들은 한 · 미 FTA에 대해 환영 일색이었다.
인텔의 그레그 슬레이더 이사는 "인텔은 한국의 26개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며 "(한 · 미 FTA로) 더 많은 혁신이 한국과 미국 기업 간에 가능해지고, 디지털 서비스가 더욱 많이 제공될 수 있어 양국 경제에 모두 혜택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에너지기업인 셰브론의 마이클 워스 부사장은 "한 · 미 FTA는 두 나라가 앞으로 훨씬 더 생산적인, 시장에 기반한 투명한 관계를 바탕으로 뻗어나갈 기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차병석 기자 chabs@hankyung.com
미국을 국빈방문 중인 이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워싱턴 시내 윌러드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한 · 미 두 나라 기업인들이 참석한 최고경영자(CEO) 라운드테이블과 오찬간담회를 갖고 "21세기 당면 과제들이 많지만 빈부 격차 문제가 심각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양국 간 FTA는 기업인에게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 근로자들에게,중소상공인에게,약자층에 있는 소상공인 소비자에게,일자리를 찾고 있는 사람들에게 매우 기여할 것이란 점에서 우리는 자신있게 FTA를 추진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FTA를) 반대하는 분들도 많이 있다"며 "FTA가 비준되고 나서 양국 기업인들이 실질적 효과를 보여주면 아마 반대하는 분들도 FTA가 이런 결과를 가져온다는 데 대해 긍정적 생각으로 바뀔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FTA를 통해) 미국과는 동맹 관계를 넘어 여러 측면에서 강한 관계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세계 경제,세계 평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한 · 미 FTA는) 1953년 한 · 미 군사동맹 이후에 크나큰 전기를 맞는 것이다.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유럽발 세계 재정위기와 관련,"우선 그리스 위기 해결에 대한 확신을 세계에 보여줘야 한다는 책임이 유럽연합(EU)에 있다"고 말했다.
이날 한 · 미CEO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한 미국 주요 기업 경영자들은 한 · 미 FTA에 대해 환영 일색이었다.
인텔의 그레그 슬레이더 이사는 "인텔은 한국의 26개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며 "(한 · 미 FTA로) 더 많은 혁신이 한국과 미국 기업 간에 가능해지고, 디지털 서비스가 더욱 많이 제공될 수 있어 양국 경제에 모두 혜택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에너지기업인 셰브론의 마이클 워스 부사장은 "한 · 미 FTA는 두 나라가 앞으로 훨씬 더 생산적인, 시장에 기반한 투명한 관계를 바탕으로 뻗어나갈 기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차병석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