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S5 업데이트後 '아이메시지'에 울고 웃는곳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애플이 아이메시지를 이 같은 하이브리드 형태로 선보임에 따라 이동통신사뿐 아니라 모바일 메시징 앱 개발사, 스마트폰 제조회사 등 다양한 업체들이 초긴장 상태다.
국내 아이폰 사용자 수는 300만명 가량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문제는 애플을 기점으로 더 많은 사업자들이 무료 문자 서비스에 나설 것에 대한 우려다. 이미 무료 문자 서비스에는 카카오톡, 마이피플, 네이트온톡, 라인 등이 서비스되고 있으며, 삼성전자 챗온도 출격을 예고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들은 데이터 사용료를 먼저 낸 뒤에는 사실상 무료로 문자와 사진, 동영상 등을 주고 받는 것에 익숙해지고 있다.
스마트폰의 '원조격'인 리서치인모션(RIM)에도 위기는 닥쳤다. 메시징 서비스인 블랙베리메신저(BBM)으로 한때 북미 지역 스마트폰 시장을 풍미했던 RIM사는 최근 전 세계적인 서비스 불통 사태에 휘말린 데 이어 아이메시지의 등장으로 패색이 더욱 짙어지게 됐다. BBM은 블랙베리OS에서만 구동되며 아이메시지와 같은 하이브리드형태를 갖추고 있지 않아 사용자 이탈이 발생할 수 있다고 인터내셔널비즈니스타임스는 전했다.
아이메시지가 하이브리드 형태여서 카카오톡과 같은 기존 메시징 앱도 애플과의 경쟁에 돌입할 것이란 전망도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회의적 시각도 있다. 와츠앱과 같은 메시징 앱은 스마트폰에 기본 탑재돼 있다는 이유로 사용자들이 쓰는 것이 아니라 사용성에 매력을 느낀 덕이라고 타임은 분석했다. 특히 와츠앱은 유료 앱이었지만 전 세계적 인기를 끌었다.
한경닷컴 김동훈 기자 d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