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면초가' 유럽 은행…UBS 등 무더기 등급 강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자본확충 압박도 거세
국제신용평가사 피치는 13일(현지시간) 스위스 UBS와 영국 로열뱅크오브스코틀랜드(RBS),로이즈뱅킹그룹,독일 란데스방크베를린,히포은행 등 5개 은행의 신용등급을 낮췄다. 또 바클레이즈(영국),BNP파리바 소시에테제네랄(프랑스),크레디트스위스(스위스),도이체방크(독일),뱅크오브아메리카(BoA),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미국) 등 12개 대형 은행들을 '부정적 관찰' 대상에 편입,등급 강등 가능성을 경고했다.
유럽 은행들의 등급 강등은 국채 손실 규모가 예상보다 클 것으로 우려되는 데다 핵심 자기자본비율 상향 조정 등 규제 강화 움직임이 뚜렷하기 때문이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은 지난 7월 그리스 2차 구제금융 조건으로 국채 상각 비율을 21% 선에서 합의했다. 그러나 최근 장클로드 융커 유로존 재무장관회의 의장은 이 비율을 60% 이상으로 올리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리스 디폴트(채무불이행)를 막는 대신 그리스가 갚아야 할 부채의 원금을 절반 이상 깎아주자는 것이다. 이는 민간은행들의 손실 확대를 의미한다. 게다가 유럽 은행 감독기관인 유럽은행감독청(EBA)은 은행권의 자본확충 기준인 핵심 자기자본비율을 5%에서 9%로 높이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피치는 "현재 시장에 남아 있는 위험은 2008년 금융위기 때 세계 금융시스템이 직면했던 스트레스와 유사하다"며 "최근 금융위기 역사는 세계적인 대형 은행도 실패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지적했다.
은행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재정위기로 사실상 시장에서는 신규 자금을 조달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대안으로자산 매각 등에 나섰다가는 실물경제까지 위축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요제프 아커만 도이체방크 최고경영자(CEO)는 "자본확충 기준을 높이고 그리스 등의 국채를 대규모로 상각하면 신용경색이 초래돼 유로존 위기가 심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스페인 국가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낮춰 위기감을 키웠다. 등급전망도 '부정적'으로 유지,추가 등급 하향 가능성을 열어뒀다.
전설리 기자 slj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