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향군인회 PF대출비리 내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향군, 임직원 등 8명 고소…檢, 6개 사업장 2000억 부실 추정
검찰이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전 · 현직 임직원들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비리에 대해 내사 중이다.
재향군인회는 지난 5일 전 사업개발본부장 A씨 등 전 · 현직 임직원 4명과 군인회가 PF 대출을 보증한 시행사와 시공사 대표 등 8명을 서울중앙지검에 고소했다고 17일 밝혔다.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2부(부장검사 김주원)는 최근 이 사건을 배당받아 A씨 등에 대해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배임) 혐의로 내사를 진행하고 있다.
A씨 등은 실체가 없는 유령사업장에 PF 대출을 받아 130억여원을 투자해 군인회에 손해를 끼친 의혹을 받고 있다. A씨 등이 시행사와 짜고 담보 심사를 부실하게 한 뒤 무리하게 대출을 추진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군인회는 지난 8월 자체 특별감사를 통해 이 같은 의혹을 밝혀내고 검찰에 고소했다.
A씨는 지난해 퇴직했으며 나머지 임직원 3명도 퇴사했거나 퇴사 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군인회가 손을 댄 부동산 사업장 가운데 실체가 없는 사업장이 6개 정도 되고 그 규모를 2000억원으로 추정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군인회는 2007년 이후 아파트와 오피스텔,리조트 등 20개 부동산 수익사업을 벌였으나 정상적으로 추진되지 않아 현재 6000억여원의 빚더미에 올라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파산을 우려할 정도다.
군인회가 수사를 받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9년 몇몇 보수단체가 "향군이 소유한 부지 매각과 회관 재건축 시공사 선정과정에서 불법이 저질러졌다"며 고발해 부산지검 강력부가 수사에 나섰으나 뚜렷한 혐의는 드러나지 않았다.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2부도 지난해 향군의 PF 비리 의혹을 포착해 본부를 압수수색하는 등 대대적인 수사를 벌였다.
그러나 개발사업본부 소속 간부 한 명이 대출 브로커와 짜고 부동산 PF를 성사시킨 혐의로 구속되는 선으로 마무리됐다. 군인회는 1952년 설립됐으며 현재 퇴역군인 850만여명을 회원으로 두고 있다.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
재향군인회는 지난 5일 전 사업개발본부장 A씨 등 전 · 현직 임직원 4명과 군인회가 PF 대출을 보증한 시행사와 시공사 대표 등 8명을 서울중앙지검에 고소했다고 17일 밝혔다.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2부(부장검사 김주원)는 최근 이 사건을 배당받아 A씨 등에 대해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배임) 혐의로 내사를 진행하고 있다.
A씨 등은 실체가 없는 유령사업장에 PF 대출을 받아 130억여원을 투자해 군인회에 손해를 끼친 의혹을 받고 있다. A씨 등이 시행사와 짜고 담보 심사를 부실하게 한 뒤 무리하게 대출을 추진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군인회는 지난 8월 자체 특별감사를 통해 이 같은 의혹을 밝혀내고 검찰에 고소했다.
A씨는 지난해 퇴직했으며 나머지 임직원 3명도 퇴사했거나 퇴사 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군인회가 손을 댄 부동산 사업장 가운데 실체가 없는 사업장이 6개 정도 되고 그 규모를 2000억원으로 추정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군인회는 2007년 이후 아파트와 오피스텔,리조트 등 20개 부동산 수익사업을 벌였으나 정상적으로 추진되지 않아 현재 6000억여원의 빚더미에 올라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파산을 우려할 정도다.
군인회가 수사를 받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9년 몇몇 보수단체가 "향군이 소유한 부지 매각과 회관 재건축 시공사 선정과정에서 불법이 저질러졌다"며 고발해 부산지검 강력부가 수사에 나섰으나 뚜렷한 혐의는 드러나지 않았다.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2부도 지난해 향군의 PF 비리 의혹을 포착해 본부를 압수수색하는 등 대대적인 수사를 벌였다.
그러나 개발사업본부 소속 간부 한 명이 대출 브로커와 짜고 부동산 PF를 성사시킨 혐의로 구속되는 선으로 마무리됐다. 군인회는 1952년 설립됐으며 현재 퇴역군인 850만여명을 회원으로 두고 있다.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