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가위로 세포 돌연변이 쉽게 식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진수ㆍ김형범 교수팀
서울대 화학부 김진수 교수팀과 한양대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김형범 교수팀은 유전자가위(ZFN)를 이용해 세포 내 돌연변이를 쉽게 식별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연구 성과는 미국화학회가 발행하는 케미컬&엔지니어링 뉴스(C&EN)에 주요 논문으로 소개됐다. 유전자가위는 제한효소(restricted enzyme)보다 더 정밀하게 DNA 염기서열을 절단하는 기술로 에이즈 등 난치병 치료나 역분화줄기세포(iPS Cell) 유전자 교정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연구팀은 돌연변이가 도입돼 형광 단백질이 발현되지 않도록 한 대리 유전자와 이 대리 유전자를 잘라내는 유전자가위를 세포 내 동시에 넣었다. 이 경우 유전자가위의 작용으로 돌연변이가 고쳐져서 형광단백질이 발현된다. 연구팀은 이때 세포 내 염색체 상에 어떤 부분에서 돌연변이가 나타나고 사라지는지를 정확히 식별하는 데 성공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
이 연구 성과는 미국화학회가 발행하는 케미컬&엔지니어링 뉴스(C&EN)에 주요 논문으로 소개됐다. 유전자가위는 제한효소(restricted enzyme)보다 더 정밀하게 DNA 염기서열을 절단하는 기술로 에이즈 등 난치병 치료나 역분화줄기세포(iPS Cell) 유전자 교정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연구팀은 돌연변이가 도입돼 형광 단백질이 발현되지 않도록 한 대리 유전자와 이 대리 유전자를 잘라내는 유전자가위를 세포 내 동시에 넣었다. 이 경우 유전자가위의 작용으로 돌연변이가 고쳐져서 형광단백질이 발현된다. 연구팀은 이때 세포 내 염색체 상에 어떤 부분에서 돌연변이가 나타나고 사라지는지를 정확히 식별하는 데 성공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