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인사 30%..도 현안 협력추진 극복 과제

2018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가 19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창립식을 하고 성공대회를 위한 대장정에 올랐다.

평창조직위는 이날 조직위원장으로 추대된 김진선 전 강원도지사를 초대 위원장으로 공식 선출하고 대최 개최 준비에 나섰다.

이날 출범한 평창조직위는 민법상 재단법인으로 정부와 강원도, 개최도시, 대한체육회(KOC) 등을 포괄하는 범 국민적 대표성을 갖는다.

또 창립과 함께 대회 준비ㆍ운영과 재원조달 및 집행을 비롯해 대회종합계획 및 세부운영계획 수립과 집행을 맡는다.

경기장 시설과 지원시설, 숙박시설 등 대회 관련 시설의 확보와 운영과 함께 정부와 지방정부, 관계기관 등과의 협력사항 등 평창올림픽 개최와 관련한 제반 업무를 담당한다.

주사무소인 평창에는 문화홍보국ㆍ경기국ㆍ대회지원국 등이 들어서고 기획협력국ㆍ마케팅국ㆍ국제국은 서울사무소에서 업무를 진행한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약속한 유치 후 3개월 내 조직위를 구성하겠다는 약속은 지키지 못했으나 강원도 출신 조직위원장과 주사무소 평창 유치 등은 외형적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조직위 구성에서 강원도가 배제됐다는 지적은 앞으로 사무처 구성 등과 관련해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특히 총 120여명의 조직위원 중 강원도 몫으로 배정된 인원은 30% 선에 불과할 것으로 보여 '강원도 인사 소외론'이 사그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또 도 현안 해결에 제 목소리가 반영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의 시각도 남아 있다.

이와 함께 앞으로 제정할 '2018 평창동계올림픽지원특별법'에 도가 요구하는 직접 건설비용의 국비 지원 비율 확대를 비롯해 투자비용 보전, 환경영향평가 간소화 등의 쟁점 사안을 얼마나 담아낼 수 있을지도 과제이다.

강원도의 한 관계자는 "조직위가 출범, 평창올림픽 준비가 공식적으로 시작됐다"며 "조직위 운영과 사무처 구성 과정에서 강원도 몫이 제대로 반영될 수 있도록 정부에 적극적으로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최문순 강원지사는 "조직위 출범으로 평창올림픽을 반드시 성공한 올림픽, 흑자올림픽으로 만들어야 하는 사명을 안게 됐다"며 "국회와 정부, KOC, 체육단체, 강원도와 전 국민이 힘을 모아 세계 역사에 남을 올림픽으로 만들어 보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평창올림픽이 도민의 간절한 염원과 눈물의 결실인 만큼 소외와 무대접을 벗는다는 믿음과 도가 새로운 도약을 이룰 전기라는 신념이 있다"며 "도민의 삶에 이바지하는 민생올림픽, 동계올림픽을 개최하지 않는 다른 시ㆍ군에도 혜택이 가는 균형올림픽을 지향해 도 발전을 이끌어내겠다"고 덧붙였다.

(춘천연합뉴스) 임보연 기자 limb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