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 예방ㆍ물부족 해소…국토 부가가치 높였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4대강 새물결…16개 보 완공
여의도 48배 생태공간 생겨…호우에도 물난리 거의 없어
농지 리모델링 478억 소득…지류·지천 정비도 탄력
여의도 48배 생태공간 생겨…호우에도 물난리 거의 없어
농지 리모델링 478억 소득…지류·지천 정비도 탄력
4대강 살리기 사업이 오는 22일 이포보(한강) · 공주보(금강) · 승촌보(영산강) · 강정고령보(낙동강) 동시 준공으로 사실상 마무리된다. 2009년 10월 말 첫 삽을 뜬 지 근 2년여 만이다. 4대강 사업으로 강변에는 여의도 면적(2.9㎢ · 제방 안쪽 기준)의 48배인 139.24㎢의 친수생태공간이 마련됐다. 안시권 4대강살리기추진본부 기획국장은 "4대강 사업은 하천 정비를 통해 국토의 품격을 높이는 국토 리모델링의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2년간의 대역사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2008년 12월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 추진을 의결한 데 이어 이듬해 2월 4대강 살리기 기획단을 발족했다. 그해 6월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을 발표하고 10월 4대강 본류 공사에 나섰다. 4대강 사업에는 2년여간 22조원이 투입됐다. 공사 기간을 기준으로 최대 규모다. 4대강 본류 공사로 발생한 준설토는 서울 남산의 11배 크기인 5억7000만㎥다. 99개의 하상보호공과 128개의 교량보호공을 설치하고 4대강 주변 친수공간을 조성해 '단군 이래 최대 규모의 하천 정비사업'으로 불렸다.
4대강 사업을 둘러싼 논란도 이어졌다. 야당과 시민단체 등은 대운하 건설이라고 비판했고 생태계 파괴,수질 악화 등을 주장하는 반대 시위도 잇따랐다. 경상남도 등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사업 추진에 반대해 중앙정부가 사업권을 넘겨받아 추진하는 우여곡절도 겪었다.
◆4대강 사업은 다목적 SOC 사업
도로 철도 등과 달리 4대강 사업은 △물 부족 해소 △수질 개선 △홍수 예방 △친수 생태공간 조성 및 수변생태 복원 △지역경제 활성화 △문화 및 여가시설 제공 등 다목적 프로젝트다.
지난 여름 장마와 집중 호우에도 4대강 주변은 물난리를 거의 겪지 않았다. 물길이 넓고 깊어지면서 물그릇이 커져 수위가 내려갔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4대강 살리기추진본부 관계자는 "홍수 예방 효과는 지역민들이 피부로 체감한 만큼 논란의 여지가 없다"고 강조했다.
수질 개선도 기대된다. 정부는 수질 오염이 심한 11개 지역을 집중 관리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하폐수처리장 55개,마을하수도 91개,가축분뇨처리시설 2개를 설치했다. 내년에 수질개선사업이 마무리되면 '좋은 물(1 · 2급수)' 비율이 80%를 웃돌 것으로 국토해양부는 예상했다. 농경지 리모델링을 통한 경제적 효과도 상당하다. 하천 인근 저지대 농경지 149곳,7709㏊를 2.6m 높임에 따라 침수 가능성이 크게 줄었고 논밭 겸용,시설원예 등으로도 쓸 수 있게 됐다. 농어촌공사는 농지 리모델링으로 2만가구의 농가가 연간 478억원의 추가 소득을 얻을 것으로 분석했다.
강수량의 대부분이 바다로 바로 흘러가 활용도가 30%를 밑돌았지만 앞으로는 체계적인 물 관리도 가능하다.
◆4대강 주변에 콘텐츠를 입혀라
4대강 사업이 하천 정비로만 끝나지 않으려면 다양한 콘텐츠를 넣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관광 인프라 프로그램 개발도 그중 하나다. 크게 늘고 있는 중국인 일본인 관광수요를 4대강 레저시설로 흡수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4대강 주변 친수지역 개발도 중요한 과제다. 박양호 국토연구원 원장은 "4대강 사업은 온 국민이 누릴 수 있는 쉼터이자 국토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공간으로 다양한 활용방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4대강 큰 물길에 이어 지류 · 지천의 작은 물길도 정비해야 체계적인 하천 관리가 가능하다. 정부는 만경강,동진강,안성천,삽교천 등 43개 국가하천과 정비가 필요한 지방하천 1852곳 등 총 1895개 하천을 대상으로 내년부터 정비 사업에 들어간다. 올해(1조1020억원)보다 14% 늘어난 1조2600억원을 투입한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2년간의 대역사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2008년 12월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 추진을 의결한 데 이어 이듬해 2월 4대강 살리기 기획단을 발족했다. 그해 6월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을 발표하고 10월 4대강 본류 공사에 나섰다. 4대강 사업에는 2년여간 22조원이 투입됐다. 공사 기간을 기준으로 최대 규모다. 4대강 본류 공사로 발생한 준설토는 서울 남산의 11배 크기인 5억7000만㎥다. 99개의 하상보호공과 128개의 교량보호공을 설치하고 4대강 주변 친수공간을 조성해 '단군 이래 최대 규모의 하천 정비사업'으로 불렸다.
4대강 사업을 둘러싼 논란도 이어졌다. 야당과 시민단체 등은 대운하 건설이라고 비판했고 생태계 파괴,수질 악화 등을 주장하는 반대 시위도 잇따랐다. 경상남도 등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사업 추진에 반대해 중앙정부가 사업권을 넘겨받아 추진하는 우여곡절도 겪었다.
◆4대강 사업은 다목적 SOC 사업
도로 철도 등과 달리 4대강 사업은 △물 부족 해소 △수질 개선 △홍수 예방 △친수 생태공간 조성 및 수변생태 복원 △지역경제 활성화 △문화 및 여가시설 제공 등 다목적 프로젝트다.
지난 여름 장마와 집중 호우에도 4대강 주변은 물난리를 거의 겪지 않았다. 물길이 넓고 깊어지면서 물그릇이 커져 수위가 내려갔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4대강 살리기추진본부 관계자는 "홍수 예방 효과는 지역민들이 피부로 체감한 만큼 논란의 여지가 없다"고 강조했다.
수질 개선도 기대된다. 정부는 수질 오염이 심한 11개 지역을 집중 관리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하폐수처리장 55개,마을하수도 91개,가축분뇨처리시설 2개를 설치했다. 내년에 수질개선사업이 마무리되면 '좋은 물(1 · 2급수)' 비율이 80%를 웃돌 것으로 국토해양부는 예상했다. 농경지 리모델링을 통한 경제적 효과도 상당하다. 하천 인근 저지대 농경지 149곳,7709㏊를 2.6m 높임에 따라 침수 가능성이 크게 줄었고 논밭 겸용,시설원예 등으로도 쓸 수 있게 됐다. 농어촌공사는 농지 리모델링으로 2만가구의 농가가 연간 478억원의 추가 소득을 얻을 것으로 분석했다.
강수량의 대부분이 바다로 바로 흘러가 활용도가 30%를 밑돌았지만 앞으로는 체계적인 물 관리도 가능하다.
◆4대강 주변에 콘텐츠를 입혀라
4대강 사업이 하천 정비로만 끝나지 않으려면 다양한 콘텐츠를 넣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관광 인프라 프로그램 개발도 그중 하나다. 크게 늘고 있는 중국인 일본인 관광수요를 4대강 레저시설로 흡수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4대강 주변 친수지역 개발도 중요한 과제다. 박양호 국토연구원 원장은 "4대강 사업은 온 국민이 누릴 수 있는 쉼터이자 국토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공간으로 다양한 활용방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4대강 큰 물길에 이어 지류 · 지천의 작은 물길도 정비해야 체계적인 하천 관리가 가능하다. 정부는 만경강,동진강,안성천,삽교천 등 43개 국가하천과 정비가 필요한 지방하천 1852곳 등 총 1895개 하천을 대상으로 내년부터 정비 사업에 들어간다. 올해(1조1020억원)보다 14% 늘어난 1조2600억원을 투입한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