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애플 추월했다] 삼성도 놀란 1000만대 격차…'잡스 없는 애플' 재역전 벅찰 듯
입력2011.10.19 17:50
수정2011.10.20 05:09
기사 스크랩
공유
댓글
클린뷰
프린트
삼성, 제품 라인업·IT동맹서 압도적 우위…애플, 신제품 지연·갤럭시S2 약진에 '발목'
"솔직히 이 정도까지 차이가 날 줄은 몰랐습니다. "
애플이 7~9월(3분기,애플 회계기준으로는 4분기) 실적을 발표한 19일,서울 서초동 삼성전자는 흥분을 감추지 못하는 분위기였다. 어느 정도 차이로 애플을 앞질렀을 것이라는 예상은 했지만 이처럼 압도적인 결과가 나올 줄은 미처 몰랐기 때문이다. 당초 양사의 판매량 격차는 200만~300만대 정도일 것이란 게 시장의 대체적 관측이었다. 그러나 막상 뚜껑을 열어본 결과 1000만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000만대의 격차'를 둘러싼 해석은 분분하다. 애플이 올해 아이폰 신제품 출시를 늦추면서 나타난 일시적 현상일 뿐이란 시각도 있지만 무서운 속도로 치고올라가는 삼성의 기세가 무섭다는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잡스 이후 애플 첫 실적 '삐걱'
지난 7월 애플이 2분기(4~6월) 실적을 발표하자 세계 정보기술(IT)업계는 경악을 금치 못했다. 애플은 3개월간 아이폰 2034만대,아이패드 925만대를 팔았다. 전분기에 비해 아이폰 판매량은 142%,아이패드 판매량은 183% 각각 증가했다.
그러나 3분기 실적은 '어닝 쇼크' 수준에 그쳤다. 매출과 순이익은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각각 39%와 53.5%나 늘었지만 전분기에 비해선 순이익은 10% 가까이 하락했다. 무엇보다 아이폰 판매가 급감한 탓이다. 애플은 2008년 아이폰3를 내놓은 이후 매년 가파른 성장곡선을 그려왔다. 올 들어서도 1분기 1860만대,2분기엔 2034만대나 팔았다. 2분기엔 노키아를 제치고 스마트폰 시장점유율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업계는 아이폰 신제품 출시 지연이 이 같은 상승세의 발목을 잡았다고 본다. 애플은 매년 6월에 신제품을 내놓았다. 그런데 올해는 10월에 아이폰4S를 출시했다. 그것도 고객들이 고대하던 아이폰5가 아니었다. 따라서 예년 같으면 7~9월에 신제품을 살 애플 고객들이 올해는 이 기간에 제품 구매를 하지 않고 기다렸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삼성,빛의 속도로 따라잡았다
애플의 부진과 함께 삼성의 추격속도가 예상보다 빨랐다는 점도 3분기 판매량 대역전의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삼성전자가 스마트폰을 내놓은 건 2008년 11월.마이크로소프트(MS) 윈도 기반의 운영체제(OS)를 장착한 옴니아였다. 삼성전자는 이듬해 6월 옴니아2를 내놨지만 느린 동작속도,아이폰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애플리케이션 탓에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받았다.
절치부심하던 삼성전자가 스마트폰다운 제품을 내놓은 건 작년 6월.구글의 안드로이드 OS를 기반으로 한 '갤럭시S'였다. 삼성 내에서 갤럭시S는 '급조된 물건'으로 불렸다. 애플이 아이폰을 내세워 스마트폰 시장을 빠르게 점령하자 개발인력을 총동원해 불과 6개월 만에 만들어낸 제품이란 점에서다. 최고의 부품을 모아 하드웨어 성능을 극대화시켰다고 자부했지만 갤럭시S는 소프트웨어 문제로 출시 이후 19차례나 업그레이드를 해야 했다.
일부의 혹평에도 갤럭시S는 지금까지 누적 판매량 2000만대를 넘어서면서 삼성전자가 애플을 추격하는 주춧돌이 됐다. 작년 2분기 스마트폰 시장에서 5%의 점유율로 애플(13.5%)에 크게 뒤처졌던 삼성전자는 4분기엔 애플과의 점유율 격차를 5.5%포인트로 좁혔다. 올해 2분기엔 1%포인트로 그 격차를 더 줄였다. 애플 추격전에 속도를 더한 건 지난 4월 내놓은 갤럭시S2였다. 갤럭시S2는 출시 5개월 만에 글로벌시장에서 1000만대나 팔렸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3분기에 애플을 스마트폰 시장에서 큰 격차로 앞선 건 갤럭시S2의 공이 컸다"고 설명했다.
◆격차 벌어질까,좁혀질까
시장의 관심은 4분기에 삼성전자와 애플 가운데 누가 이길지에 쏠리고 있다. 애플은 지난 14일 판매하기 시작한 아이폰4S에 기대를 걸고 있다. 아이폰4S는 출시 사흘 만에 400만대 이상 팔렸다. 작년에 출시한 아이폰4의 사흘치 판매량(170만대)에 비해 두 배 이상 많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도 이날 "아이폰4S에 대한 고객들의 반응이 환상적"이라며 "연말 휴가시즌까지 강력한 모멘텀을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에선 그러나 삼성전자의 우위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유는 두 가지다. 먼저 삼성전자가 애플에 비해 제품 라인업이 좋다는 점이다. 애플은 한 가지 모델로 1년 이상을 끌고 가지만 삼성전자는 올 들어서만 갤럭시S2 LTE에 이어 갤럭시노트,갤럭시 넥서스를 내놨다. 신흥시장용 보급형 스마트폰(갤럭시Y 등)도 곧 출시한다. 여기에 구글,마이크로소프트,인텔 등 글로벌 기업들과 전방위 협력관계를 맺은 것도 큰 버팀목이다. 증권가에선 4분기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판매량이 4000만대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60대 남성 김모씨는 20년 전 종신보험에 가입해 매달 30만원의 보험료를 내고 있다. 혹시 본인이 사망했을 때 남겨질 아내와 자녀들을 생각해 꼬박꼬박 보험료를 냈다. 김씨는 막상 60대가 돼 자녀들이 독립을 하자 본인의 노후가 더 걱정되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주변 지인이 종신보험을 연금으로 바꿨다는 얘기를 듣고 보험사에 전환이 가능한지 문의했다. 김씨처럼 사망 보장을 위해 종신보험에 가입했다가 나이가 든 뒤에 연금 전환을 선택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100세 시대가 도래하면서 노후 생활비를 안정적으로 마련하는 것이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연금소득이 부족한 고령층 소비자라면 종신보험의 연금 전환 기능을 고려할 만하다고 조언한다. 다만 종신보험을 저축성 자산으로 오인할 경우 손실을 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종신보험 연금 전환이란종신보험은 피보험자가 사망 시 보험금을 지급하는 상품이다. 과거 가장이 사망했을 때 남겨질 가족을 위해 종신보험을 준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종신보험 단일 상품의 계약 건수만 1600만건이 넘을 정도로 많은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저출산과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종신보험의 인기는 점차 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 가입한 종신보험을 해약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대부분 종신보험은 보험료 납입 기간 도중에 해약할 경우 원금의 일부만 돌려받을 수 있어 손실을 입을 위험이 있다. 당장 노후에 쓸 돈이 필요하다면 종신보험의 ‘연금 전환’ 특약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연금 전환을 신청하면 종신보험의 해약환급금을 재원으로 연금을 지급한다. 즉 종신보험 가입 기간 동안엔 사망보장을 받고, 고객이
이번 주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 주간 평균 가격이 17주 만에 소폭 하락세로 돌아섰다. 국제 유가가 하락해서다.8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2월 첫째 주(2∼6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직전 주 대비 L당 0.04원 내린 1733.06원을 기록했다. 앞서 주간 휘발유 평균 판매 가격은 지난주까지 16주 연속 상승했다.가격이 가장 높은 서울은 직전 주보다 4.1원 상승한 1801.8원, 가격이 가장 낮은 대구는 1.4원 하락한 1706.4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가장 저렴한 상표는 알뜰주유소로, L당 평균가는 1706.6원이었다.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1597.7원으로 L당 1.1원 올랐으나 상승 폭은 전주의 11.3원 대비 줄었다.이번 주 국제유가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관세 발효 이후 고조한 미중 무역 전쟁 우려, 미국 주간 원유 재고 증가 등에 하락했다.국제유가 변동은 통상 2∼3주가량 차이를 두고 국내 주유소 가격에 반영된다.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 회장 등 국내 기업 총수들을 잇달아 만나고 돌아간 ‘챗GPT 아버지’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본국에서 구설에 오르고 있습니다.오픈 AI는 수익을 추구하지 않는 ‘비영리 단체’로 설립됐는데, 여기의 수장인 올트먼 CEO가 수십억 원을 호가하는 슈퍼카를 타는 모습이 포착되고 있기 때문입니다.7일 비즈니스인사이더, qz 등 미국 언론들에 따르면 올트먼은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나파밸리 지역에서 스웨덴 슈퍼카 코니세그를 타고 있는 모습이 포착됐습니다.그가 탄 모델은 ‘레제라’로 출고가가 200만달러(약 29억원)에 달합니다. 80대밖에 제작되지 않아 중고 시장에서는 300만달러(43억원)가 넘는 가격에 거래됩니다.레제라의 출력은 1500마력으로 페라리 로마(620마력), 포르쉐 911 터보(662마력)의 두 배가 넘습니다. 정지상태에서 400k/h까지 31초 만에 도달합니다.올트먼의 탑승 모습을 포착해 SNS에 올린 조셉 벨리안은 “코니세그를 일반 도로에서 직접 봐서 꿈만 같다”라며 “내 인생의 가장 드문 순간 중 하나일 것”이라고 소감을 말했습니다.테슬라 차주 동호회인 ‘실리콘밸리 테슬라 모임’에서는 야유가 쏟아졌습니다. 한 테슬라 오너는 “비영리 단체의 CEO가 어떻게 코니세그를 탈 수 있냐”고 꼬집었습니다.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도 댓글을 통해 “좋은 지적(great question)”이라며 공감을 표시했습니다. 머스크 발언에 대해 오픈AI 측은 “경솔하다”고 비판했습니다.머스크는 오픈AI의 공동 창립자 중 하나였으나, 내부 갈등으로 오픈AI를 2018년 떠났습니다.오픈AI는 ‘인류를 이롭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