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여지승람'…조선을 담은 타임캡슐
성종은 1481년에 노사신 강희맹 서거정 등이 완성한 지리지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을 받아들였다. 세종대에 편찬한 《지리지》와 명나라의 《일통지(一統誌)》를 바탕으로 세조 때부터 양성지가 작업에 착수해 1477년에 완성한 《팔도지리지》에 문사들의 시문을 첨가해 50권으로 완성한 것이다.

이로써 《동국여지승람》은 법전인 《경국대전》,역사서인 《동국통감》과 더불어 성종대의 대표적인 편찬 사업의 성과로 자리잡았다.

《동국여지승람》은 우리나라 각 도(道)의 연혁과 관원을 개괄하고 성씨 · 형승 · 산천 · 토산 · 성곽 · 봉수 · 누정 · 학교 · 역원 · 창고 · 불우(佛宇) · 사묘 · 능묘 · 고적 · 인물 · 효자 · 열녀 등의 조목 아래 해당 내용을 나열식으로 기술했다. 누정 · 불우 · 고적 · 제영에는 역대 명가(名家)의 시와 기문이 풍부하게 실려 있다. 또 각 도의 첫머리에 도별 지도를 수록해 지역에 대한 공간적인 인식을 가능하게 했다.

서문의 기록을 통해 당시인들의 국토와 지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로 하자.

'송나라 가희 연간에 건안의 축목(祝穆)이 《방여승람(方輿勝覽)》을 편찬해 사물의 중요한 것을 널리 채택하고 구절마다 각 주(州) 밑에 나누어 넣었으니,그 문장이 칭찬할 만한 점이 있었습니다. (중략) 명나라가 천하를 차지해 문자와 궤도(軌道)가 통일되자 《일통지(一統誌)》를 지어서 온 천하를 포괄하지 않음이 없었으니 아,훌륭합니다. (중략) 우리 동방은 단군이 나라를 처음 세우고,기자(箕子)가 봉함을 받았는데 모두 평양에 도읍했고,한나라 때는 사군(四郡)과 이부(二府)를 두었습니다. 이로부터 삼한(三韓)이 오이처럼 나누어져 마한(馬韓)은 54국을 통솔하고,진한(辰韓)과 변한(卞韓)은 각각 12국을 통솔했습니다. 그러나 상고할 만한 도적(圖籍)이 없고,그 뒤로는 신라 고구려 백제 세 나라가 솥발처럼 나누어졌습니다. '

지리지에 포함해야 할 항목과 이유 등도 자세히 기록돼 있다.

'연혁(沿革)을 먼저 쓴 것은 한 고을의 흥폐를 먼저 몰라서는 안 되기 때문이고,풍속과 형승을 다음에 쓴 것은 풍속은 한 고을을 유지시키는 바이며,형승은 사경(四境)을 공대(控帶)하는 바이므로 명산대천(名山大川)을 경위(經緯)로 삼고,높은 성과 큰 보루를 금포(襟抱)로 삼았습니다.

묘사(廟社)를 맨 먼저 기재한 것은 조종(祖宗)을 높이며 신기(神祇)를 존경해서이고,다음에 궁실(宮室)을 쓴 것은 상하의 구분을 엄하게 하고 위엄과 무거움을 보이기 위해서입니다.

오부(五部)를 정해서 방리(坊里)를 구분하며,여러 관청을 설치해 모든 사무를 보는데 능침(陵寢)은 조종의 길이 편안한 곳이며,사(祠)와 단(壇)은 또 국가의 폐하지 못할 전례입니다. 학교를 일으키는 것은 일국의 인재를 교육하려는 것이고,정문(旌門)을 세우는 것은 삼강(三綱)의 근본을 표창하려는 것입니다. '

서문은 중국의 《방여승람》과 《일통지》의 영향을 받아 지리지를 편찬한다는 것과 단군 이래 우리 역사와 지리를 개관하고 있다. 《동국여지승람》은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관찬 지리지로서 지리적인 면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역사 행정 군사 사회 민속 예술 인물 등 지방 사회의 모든 방면에 걸친 종합 인문지리서의 성격을 지녔다.

완성 이후에도 꾸준한 교정과 증보 작업이 이어졌다. 1485년(성종 16년) 김종직 등에 의해 1차 교정이 이뤄졌고,1499년(연산군 5년)에는 임사홍 성현 등에 의해 2차 교열이 진행됐다. 1528년(중종 23년)에는 새로운 보충작업에 착수해 보완한 곳에 '신증(新增)'의 두 글자를 첨가했다. 그 결과 1530년(중종 25년)에는 속편 5권을 합쳐 전 55권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이 완성됐다.

《동국여지승람》에 나타난 체계적인 국토 인식은 조선 후기의 지리지 편찬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영조는 《여지도서(輿地圖書)》,정조는 《해동여지통재(海東輿地通載)》를 간행했고,이중환의 《택리지(擇里志)》,김정호의 《대동지지(大東地志)》와 같은 사찬(私撰) 지리지의 편찬으로 이어졌다.

위의 서문을 통해 조선시대 사람들이 지리지에 꼭 넣고 싶어했던 내용들을 파악할 수 있다. 지금 우리 시대에 만들어진 지리지의 항목들과 조선시대 지리지의 항목들을 비교하면서 그 변천상을 파악하는 것도 의미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원문은 한국고전번역원(itkc.or.kr)의 '고전포럼-고전의 향기'에서 볼 수 있습니다.

신병주 < 건국대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