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중의원(하원)이 사이버 공격을 받아 의원 컴퓨터 패스워드가 도난당하는 등의 피해가 났다고 아사히신문이 25일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중의원의 의원 공용 컴퓨터와 서버가 지난 7월 이후 사이버 공격을 받아 컴퓨터가 바이러스에 감염되고 의원 등 중의원 네트워크 이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도난당했다.

사이버공격은 약 1개월간 계속됐고, 이 기간 의원 등의 메일이 해킹당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국회 관련 서버가 사이버 공격을 받아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유출된 것은 처음이다.

사이버 침입자는 외교와 국방 등 국정의 기밀 정보를 노렸을 가능성이 있다.

중의원의 네트 서버에는 의원 480명과 공설비서, 사무국 직원 등 모두 2천660명의 패스워드 등이 들어있다.

관계자에 의하면 중의원 의원 한 명이 7월 말 메일의 첨부 파일을 열람하면서 중의원 사이버 네트워크가 바이러스에 감염됐다.

문제의 바이러스는 '트로이 목마'로 중국 국내의 서버가 패스워드 등을 훔쳐내는 프로그램을 작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산케이신문은 미국이 지난달 16일 열린 사이버 공격 대책에 관한 첫 외교ㆍ국방 당국 정책협의에서 중국에 대한 경계 강화를 일본 정부에 요청했다고 전했다.

이 신문은 사이버 공격의 의뢰를 받는 대행사이트의 대부분이 중국어로 돼 있다는 점을 들어 중국군과 민간인이 공조한 사이버 공격을 미국이 강하게 우려하고 있으며, 사이버 영역에서도 중국에 대한 전략이 미일 동맹의 최중요 과제로 부상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정부는 재작년 7월 국방부 등 정부 기관 사이트가 사이버 공격을 받은 것을 계기로 위기감을 갖고 올 7월 사이버 전략을 세웠으며, 동맹국과 정책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도쿄연합뉴스) 김종현 특파원 kim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