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 글을 읽고 ( )안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말을 고르시오.

노조의 정치투쟁과 귀족주의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자 최근 노조 내부에서도 노동조합운동이 이미 우리 사회의 중요한 한 축을 형성하고 있는데도 그에 걸맞은 행동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반성이 나타나면서 노조의 ( )을(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미국 칼 폴리 포모나대의 도킨스 교수는 "한 조직체의 행위는 규범적 척도 내에서만 이뤄져야 정당성을 갖는다"며 "노조도 다른 사회제도와 마찬가지로 사회적 승인을 얻는 방식으로 행동해야 한다"고 ( )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 OO신문, 2011.5.6

(1) 사회적 유연성
(2) 체질 개선
(3) 글로벌 스탠더드
(4) 합법적 단체행동
(5) 사회적 책임


해설

기업 규모가 커지고 다국적화되는 기업들이 많아지면서 영리추구가 목적인 기업이라 할지라도 사회에 대하여 일정 부분 책임을 져야 한다는 주장이 적지 않다. 기업은 주주(share-holders)뿐만 아니라 그보다 넓은 범위의 사람들(이해관계자ㆍstake-holders)의 이익을 위해 봉사해야 한다는 뜻으로 이를 기업의 사회적 책임경영(CSRㆍ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라고 한다. 이해관계자에는 소비자,종업원,지역사회,언론,환경,시민단체 등이 포함된다. CSR의 이론적 배경은 이해관계자이론(stake-holder theory)으로, 기업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당연히 책임 있는 역할을 수행해야 하고 덧붙여 사회 속에서 건전한 기업시민(good corporate citizenship)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엔 기업뿐만 아니라 노조도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사회적 책임(USRㆍunion social responsibility)을 다해야 한다는 학자들이 등장하고 있다. 도킨스 교수가 처음 USR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일본의 노동경제학자인 후지무라 히로유키(藤村博之)도 "노조는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활동을 하기 때문에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다"며 "노조에는 사회적 책임이 부과돼 있다"고 지적했다.


정답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