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代 76% '反한나라' 몰표…욕구 반영 못하자 '퇴출 경고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0·26 정치 빅뱅
안철수, 1주간 '정치 외출'…기존 구도 무너뜨려
안철수, 1주간 '정치 외출'…기존 구도 무너뜨려
시민사회단체 출신 박원순 서울시장의 등장은 한국 정당 정치의 위기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단 1주일간의 정치 외출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4년 대세론 아성을 일거에 흔든 '안철수 현상' 역시 그 연장선상이다. 시민단체와 최고경영자(CEO) 출신 교수의 정치 행보에 거대 여당과 제1야당이 맥없이 무너진 현실은 우리 정당이 그동안 얼마나 국민과 유리된 채 '그들만의 정치'를 해왔는지 보여주는 방증이다.
이번 선거 결과를 두고 일각에서 '기성 정치세력에 대한 퇴출 경고장'이라는 표현까지 등장하는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안철수-박원순'으로 대변되는 제3세력의 등장은 한나라당,민주당 등 여야 정치권에 강력한 변화를 주문하고 있다. 기존 지역구도에 안주해온 정치인은 더 이상 설 자리를 잃었다. 세대 간 대결 성격이 확연히 드러난 이번 서울시장 선거는 20~40대층의 변화하는 욕구를 읽지 못하는 정치세력은 언제든지 퇴출될 수 있다는 경고를 보내고 있다.
한나라당 내에서는 '이대로는 내년 총선,대선도 어렵다'는 위기의식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선거의 여왕'이라는 칭호를 얻었던 박 전 대표까지 나선 서울시장 선거에서 패했다는 점이 뼈아프다. 내년 총선 · 대선 전략의 전면적 수정이 불가피하다. 당장 차기 대선 후보 선정을 둘러싼 당내 논란이 고개를 들 수도 있는 상황이다. 친이(이명박)계를 비롯한 서울 · 수도권 의원들이 대안 주자론을 들고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친이,친박 간 갈등이 다시 불거지면서 엄청난 소용돌이 속으로 빨려들어갈 수 있다.
실제 당내 소장파들을 중심으로 "인적 쇄신을 통한 변화로 정면돌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김수진 이화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안철수,박원순의 등장으로 기성 정치권이 위기에 직면한 게 아니라,이미 위기여서 그 사람들이 출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시장 후보조차 내지 못해 '불임정당'의 오명을 뒤집어쓴 민주당도 위기이긴 마찬가지다. 시민사회단체를 비롯한 제3지대 인사들과 실질적 경쟁 관계이기 때문이다. 진보적 색채를 추구하고 있지만 정책적 구심점 없이 보수와 진보를 오가는 애매한 정체성,시민들의 참여 욕구를 담아내지 못하는 전근대적 당내 구조는 안철수,박원순 같은 새 인물과의 결합을 가로막고 있다. 지난 3일 박원순 후보와의 야권 단일화 경선 패배는 이런 한계를 여실히 보여줬다.
한 핵심 관계자는 "정말 총동원했는데도 SNS 기반의 시민후보에게 졌다. 새로운 변화를 읽지 못하고 조직 동원으로 이기려고 했던 그날의 패배는 '장충동 쇼크'였다"고 토로했다.
그나마 박원순 후보의 승리를 통해 '민주당의 지원이 있어야 이길 수 있다'는 승리 공식에 야당과 시민사회단체가 공감대를 이뤘다는 점에서 민주당에는 위기이지만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김민전 경희대 교수는 "지난해 경기지사 선거나 김해을 재선거에서 보듯 단일 후보라도 민주당이 나서지 않으면 지고,적극 도와주면 이긴다는 공감대가 만들어졌다"며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야권 통합 논의 과정에서 진영 간 샅바싸움이 더욱 거세질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강원택 서울대 교수는 "민주당 입장에서는 기득권 양보 요구가 한층 커질 수밖에 없어 곤혹스러울 것"이라고 말했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
이번 선거 결과를 두고 일각에서 '기성 정치세력에 대한 퇴출 경고장'이라는 표현까지 등장하는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안철수-박원순'으로 대변되는 제3세력의 등장은 한나라당,민주당 등 여야 정치권에 강력한 변화를 주문하고 있다. 기존 지역구도에 안주해온 정치인은 더 이상 설 자리를 잃었다. 세대 간 대결 성격이 확연히 드러난 이번 서울시장 선거는 20~40대층의 변화하는 욕구를 읽지 못하는 정치세력은 언제든지 퇴출될 수 있다는 경고를 보내고 있다.
한나라당 내에서는 '이대로는 내년 총선,대선도 어렵다'는 위기의식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선거의 여왕'이라는 칭호를 얻었던 박 전 대표까지 나선 서울시장 선거에서 패했다는 점이 뼈아프다. 내년 총선 · 대선 전략의 전면적 수정이 불가피하다. 당장 차기 대선 후보 선정을 둘러싼 당내 논란이 고개를 들 수도 있는 상황이다. 친이(이명박)계를 비롯한 서울 · 수도권 의원들이 대안 주자론을 들고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친이,친박 간 갈등이 다시 불거지면서 엄청난 소용돌이 속으로 빨려들어갈 수 있다.
실제 당내 소장파들을 중심으로 "인적 쇄신을 통한 변화로 정면돌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김수진 이화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안철수,박원순의 등장으로 기성 정치권이 위기에 직면한 게 아니라,이미 위기여서 그 사람들이 출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시장 후보조차 내지 못해 '불임정당'의 오명을 뒤집어쓴 민주당도 위기이긴 마찬가지다. 시민사회단체를 비롯한 제3지대 인사들과 실질적 경쟁 관계이기 때문이다. 진보적 색채를 추구하고 있지만 정책적 구심점 없이 보수와 진보를 오가는 애매한 정체성,시민들의 참여 욕구를 담아내지 못하는 전근대적 당내 구조는 안철수,박원순 같은 새 인물과의 결합을 가로막고 있다. 지난 3일 박원순 후보와의 야권 단일화 경선 패배는 이런 한계를 여실히 보여줬다.
한 핵심 관계자는 "정말 총동원했는데도 SNS 기반의 시민후보에게 졌다. 새로운 변화를 읽지 못하고 조직 동원으로 이기려고 했던 그날의 패배는 '장충동 쇼크'였다"고 토로했다.
그나마 박원순 후보의 승리를 통해 '민주당의 지원이 있어야 이길 수 있다'는 승리 공식에 야당과 시민사회단체가 공감대를 이뤘다는 점에서 민주당에는 위기이지만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김민전 경희대 교수는 "지난해 경기지사 선거나 김해을 재선거에서 보듯 단일 후보라도 민주당이 나서지 않으면 지고,적극 도와주면 이긴다는 공감대가 만들어졌다"며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야권 통합 논의 과정에서 진영 간 샅바싸움이 더욱 거세질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강원택 서울대 교수는 "민주당 입장에서는 기득권 양보 요구가 한층 커질 수밖에 없어 곤혹스러울 것"이라고 말했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