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커창, LG연구소만 찾은 이유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사이드 Story - 재계의 차이나 인맥
"광저우 LCD 투자와 관련 있을 것" 관측도
삼성은 시진핑·현대車는 자칭린과 돈독
"광저우 LCD 투자와 관련 있을 것" 관측도
삼성은 시진핑·현대車는 자칭린과 돈독
차기 중국 총리에 유력한 것으로 알려진 리커창 국무원 상무부총리가 27일 오후 LG전자 연구 · 개발의 심장인 서울 양재동 서초R&D캠퍼스를 찾았다. 구본무 LG 회장 안내를 받아 오후 3시30분께부터 30분 남짓 연구센터를 둘러보며 LG전자의 3차원(3D)TV와 스마트폰,디오스 냉장고,휘센 에어컨 등의 제품을 살폈다.
구 회장과 나란히 3D 안경을 끼고 3D 영상을 감상하며 환담 시간을 갖기도 했다. 리 부총리는 LG 연구원들이 생활 밀착형 아이디어를 낼 수 있도록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처럼 꾸며놓은 이노베이션랩 시설을 둘러본 자리에서 "기술개발 때 심리학 · 사회학까지 접목시켜 연구하는 시설이 있어 LG가 세계 시장에서 앞서갈 수 있고 점점 더 강한 회사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중국 기업들이 이런 점을 많이 배워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LG는 리 부총리 영접을 위해 구 회장 외에도 구본준 LG전자 부회장,강유식 ㈜LG 부회장,안승권 LG전자 사장(최고기술책임자) 등이 출동했다.
재계에선 지난 26일 1박2일 일정으로 방한한 리 부총리가 다른 기업을 제치고 LG 연구소를 방문한 배경에 대해 궁금해 하는 분위기다. LG는 "중국 고위층이 예전부터 LG에 큰 관심을 가져왔고 이번 방문도 그 연장선상일 뿐"이라며 확대 해석에 선을 그었다. 1998년엔 후진타오 부주석(현 국가 주석),2003년엔 우방궈 전국인민대표회의위원장(현 상무위원장),2005년엔 시진핑 저장성 당서기(현 국가 부주석) 등이 LG를 찾았다는 설명이다.
그럼에도 일부에선 리 부총리의 직계로 불리는 왕양 광둥성 서기를 돕기 위해 LG를 찾은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광둥성 광저우에 4조원을 들여 8세대 LCD(액정표시장치) 공장을 짓기로 한 LG디스플레이가 시황 악화를 이유로 '재검토' 뜻을 내비치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해석이다.
왕 서기는 중국 핵심 권력인 차기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의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LG가 투자를 철회하면 왕 서기의 상무위원행에 빨간불이 켜질 수도 있다.
재계의 중국 인맥이 조금씩 다른 것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삼성은 시진핑 부주석과 교류가 더 많은 편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사장은 지난해 2월 시 부주석과 면담한 뒤 쑤저우에 LCD 공장 건설 허가를 받았다. 쑤저우가 위치한 장쑤성은 시 부주석이 서기를 지낸 곳이다. 시 부주석을 물밑에서 지원해온 쩡칭홍 전 부주석과도 두터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중국 권력 서열 4위인 자칭린 전국정치협상회의 주석과 돈독한 사이로 알려져 있다. 자 주석은 작년 11월 현대차 베이징 3공장 기공식에 참석하기도 했다. SK는 고(故) 최종현 회장 시절부터 중국에 공을 들여 후 주석,원자바오 총리 등과 두루 가까운 것으로 전해졌다.
리 부총리는 앞서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경제 4단체 초청으로 신라호텔에서 열린 간담회에 참석,"한 · 중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해 양국 관계를 한 단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또 "친환경 에너지와 자원개발에 협력하자"고 제안했다.
정인설/이유정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