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 붙잡을 대책이…" 여권 한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靑, 매일 회의 열지만 획기적 정책 힘들어…인적쇄신도 흐지부지
'10 · 26 서울시장 보궐선거' 패배에서 나타난 20~40대의 민심이반을 수습하기 위해 청와대와 한나라당이 대책마련에 나섰다. 비싼 대학등록금,청년실업,비정규직,전셋값 폭등 등 젊은 세대의 불만을 해소할 '공감형 정책'을 찾아 보겠다는 방침이지만 뾰족한 수가 보이지 않아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한때 불거졌던 당 · 청의 인적 쇄신론도 뚜렷한 대안이 없다는 이유로 유야무야되는 분위기다. 이대로 가다간 내년 총선과 대선도 서울시장 선거의 재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여권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쉽지 않은 '공감 정책'
최금락 청와대 홍보수석은 28일 기자들과 만나 "투표를 통해 나타난 젊은 세대들의 뜻을 어떻게 받아들일지가 중요하다"며 "대통령실장 주재로 매일 수석비서관회의를 열어 앞으로 그러한 것들을 어떻게 구현해 나갈지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임태희 대통령실장은 이날 오후 첫 일일 수석비서관회의를 열고,2040세대에 초점을 맞춘 정책 방향 등에 대해 논의했다. 그러나 획기적인 대안이나 아이디어는 나오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청년실업,비정규직 등은 구조적인 문제여서 새로운 대책을 내놓는다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기존 정책을 좀 더 세심하게 챙기고,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에선 소장파를 중심으로 노동 · 복지 · 교육 · 경제정책의 기본 노선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 당 · 청갈등으로 비화될 소지도 없지 않다.
◆흐지부지된 인적쇄신
청와대에선 한때 임 실장의 사의설(說) 등 혼선이 빚어졌지만 결국 인적개편은 당분간 하지 않기로 정리됐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아침 참모회의에서 "지금 시점에서 대통령실장을 비롯한 청와대 참모진의 개편보다는 재 · 보선 투표에 투영된 민심을 어떻게 정책으로 구현할지가 우선"이라고 밝혔다. '선(先) 민심수습 · 후(後) 인적개편'으로 가닥을 잡은 것이다. 자칫 인적 개편론이 여권 내 분열을 낳을 수 있는 데다 대안도 마땅치 않다는 점에서 '고육책'이란 평가다.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는 '버티기'에 돌입했다. 이재오 의원과 일부 소장파가 홍 대표 체제의 쇄신을 요구하고 있지만 홍 대표는 물러나지 않을 기세다. 임 실장의 사의설이 흘러나온 27일 밤 홍 대표는 임 실장의 사퇴를 말렸다. 임 실장이 선거 책임을 지고 물러나면,선거를 지휘했던 자신도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란 해석이 유력이다.
그러나 원희룡 최고위원이 지도부 동반사퇴를 요구하고 있고 유승민 최고위원도 사퇴를 고민하고 있어 쇄신바람이 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차병석 기자 chabs@hankyung.com
한때 불거졌던 당 · 청의 인적 쇄신론도 뚜렷한 대안이 없다는 이유로 유야무야되는 분위기다. 이대로 가다간 내년 총선과 대선도 서울시장 선거의 재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여권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쉽지 않은 '공감 정책'
최금락 청와대 홍보수석은 28일 기자들과 만나 "투표를 통해 나타난 젊은 세대들의 뜻을 어떻게 받아들일지가 중요하다"며 "대통령실장 주재로 매일 수석비서관회의를 열어 앞으로 그러한 것들을 어떻게 구현해 나갈지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임태희 대통령실장은 이날 오후 첫 일일 수석비서관회의를 열고,2040세대에 초점을 맞춘 정책 방향 등에 대해 논의했다. 그러나 획기적인 대안이나 아이디어는 나오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청년실업,비정규직 등은 구조적인 문제여서 새로운 대책을 내놓는다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기존 정책을 좀 더 세심하게 챙기고,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에선 소장파를 중심으로 노동 · 복지 · 교육 · 경제정책의 기본 노선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 당 · 청갈등으로 비화될 소지도 없지 않다.
◆흐지부지된 인적쇄신
청와대에선 한때 임 실장의 사의설(說) 등 혼선이 빚어졌지만 결국 인적개편은 당분간 하지 않기로 정리됐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아침 참모회의에서 "지금 시점에서 대통령실장을 비롯한 청와대 참모진의 개편보다는 재 · 보선 투표에 투영된 민심을 어떻게 정책으로 구현할지가 우선"이라고 밝혔다. '선(先) 민심수습 · 후(後) 인적개편'으로 가닥을 잡은 것이다. 자칫 인적 개편론이 여권 내 분열을 낳을 수 있는 데다 대안도 마땅치 않다는 점에서 '고육책'이란 평가다.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는 '버티기'에 돌입했다. 이재오 의원과 일부 소장파가 홍 대표 체제의 쇄신을 요구하고 있지만 홍 대표는 물러나지 않을 기세다. 임 실장의 사의설이 흘러나온 27일 밤 홍 대표는 임 실장의 사퇴를 말렸다. 임 실장이 선거 책임을 지고 물러나면,선거를 지휘했던 자신도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란 해석이 유력이다.
그러나 원희룡 최고위원이 지도부 동반사퇴를 요구하고 있고 유승민 최고위원도 사퇴를 고민하고 있어 쇄신바람이 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차병석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