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지급식펀드 '월급' 용어 못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감원, 불안전 판매 방지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월지급식 펀드를 광고할 때 '월급처럼'이나 '예금처럼'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판매가 급증하고 있는 월지급식 펀드를 광고하거나 판매하는 과정에서 불완전판매 가능성이 있어 이처럼 지도할 방침이라고 1일 발표했다.
투자자가 '월급받기'나 '월급처럼' 등의 광고문구를 보면 마치 이자만 지급받고 원금이 보장되는 것처럼 오인할 우려가 있다는 게 금감원의 설명이다. 또 '예금처럼''적금처럼''보험처럼' 등 다른 금융상품으로 오인할 우려가 있는 용어도 사용을 자제하도록 지도할 계획이라고 금감원은 밝혔다.
월지급식 펀드는 2009년 1개에 불과했으나 작년 8개,올 9월 말 33개로 급증했다. 고령화와 베이비 붐 세대의 은퇴 시기와 맞물려 맞춤형 펀드인 월지급식 펀드가 집중적으로 출시됐기 때문이다.
서정환 기자 ceoseo@hankyung.com
금융감독원은 최근 판매가 급증하고 있는 월지급식 펀드를 광고하거나 판매하는 과정에서 불완전판매 가능성이 있어 이처럼 지도할 방침이라고 1일 발표했다.
투자자가 '월급받기'나 '월급처럼' 등의 광고문구를 보면 마치 이자만 지급받고 원금이 보장되는 것처럼 오인할 우려가 있다는 게 금감원의 설명이다. 또 '예금처럼''적금처럼''보험처럼' 등 다른 금융상품으로 오인할 우려가 있는 용어도 사용을 자제하도록 지도할 계획이라고 금감원은 밝혔다.
월지급식 펀드는 2009년 1개에 불과했으나 작년 8개,올 9월 말 33개로 급증했다. 고령화와 베이비 붐 세대의 은퇴 시기와 맞물려 맞춤형 펀드인 월지급식 펀드가 집중적으로 출시됐기 때문이다.
서정환 기자 ceose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