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30]태국 정부가 홍수 문제를 전담하는 부처를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잉락 친나왓 태국 총리는 2일 “태국 전역의 댐을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며 “홍수 전담 부처를 신설하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잉락 총리는 “해외 국가들이 태국의 홍수 사태를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며 “12∼13일 하와이에서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담에서 이번 홍수 사태를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중·북부 지역에서 방콕 유역 등으로 흘러내려온 강물이 바다로 빠져나가고 있다” 면서 “상황이 더 악화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태국 정부는 홍수로 침수 피해를 본 국민을 위해 가구당 최대 3만바트(약 110만원)를 지원하고 850억바트(3조1100억원)의 예산을 투입, 피해 농가와 중소기업에 낮은 금리로 대출을 해줄 방침이다. 정부는 침수 피해 농가에 대해 벼종자, 가금류 등을 무료 제공하고 상처입은 가축도 무료로 치료해 주기로 했다.

이에 앞서 태국 정부는 ‘새로운 태국’(New Thailand) 슬로건 아래 9000억바트(32조93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장기적 차원의 치수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태국 원자력청(OAEP)은 방콕 북쪽 위파와디-랑싯 거리에 있는 연구용 원자로의 안전 문제와 관련, “해당 지역은 아직까지 침수피해가 없는데다 원자로는 8m70㎝ 높이에 설치돼 침수로 인한 안전 문제 발생 가능성은 없다”고 밝혔다.

연구용 원자로를 담당하고 있는 국가원자력기술연구소(NNTI)의 씨리낫 부소장은 “원자로가 1m두께의 콘크리트 벽으로 보호되고 있어 2∼3t의 수압에도 견딜수 있다” 면서 “원자로 주변의 거리가 8m 이상으로 침수되지 않으면 아무 문제가 없다”고 전했다.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