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로 안전 문제가 제기됐지만 전력에너지 부족 전망과 낮은 지진 발생 가능성 등을 감안해 현행 원전 확대 정책 기조를 계속 유지하겠다는 뜻이다.
최 장관은 "한국처럼 원유 생산 능력이 거의 없고 바다와 북한에 둘러싸인 '고립섬'인 경우에는 주변 국가로부터 전력을 수입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원전 정책을 그대로 밀고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같은 방침은 지경부 내부에서 내린 결론이어서 홍석우 장관 내정자가 취임하더라도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홍 내정자는 오는 15일 국회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21기인 원전을 35기로 늘려 원전 발전 비중을 48.5%로 높이는 5차 전력수급 기본계획(2010~2024년)을 확정,발표했다. 앞서 2008년 발표한 국가에너지 기본계획에서는 2030년까지 원전 비중을 59%까지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신고리 2호기,신월성 1~2호기,신고리 3~4호기,신울진 1~2호기 등 7기는 이미 건설을 진행 중이다.
지난 9월 발생한 대규모 정전 사태도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에 힘을 실어줬다는 분석이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