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ㆍ중견기업 "레미콘ㆍLED 접을 판"…中企 "자율합의 지켜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동반성장委, 2차 中企 적합업종 25개 선정
"레미콘 업종 특성 무시" 삼표ㆍ성신양회 등 강력 반발
식품업계 "성장 기회 잃었다"
중기 "대기업 성실이행" 촉구
"레미콘 업종 특성 무시" 삼표ㆍ성신양회 등 강력 반발
식품업계 "성장 기회 잃었다"
중기 "대기업 성실이행" 촉구
삼표 ㈜동양 성신양회 쌍용레미콘 등 대형 레미콘 업체들을 회원사로 둔 한국레미콘공업협회엔 4일 오후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았다. 동반성장위원회가 이날 오전 레미콘 두부 LED램프 등 25개 품목을 중소기업 적합업종(품목)으로 선정한 뒤 회원사들이 일제히 반발하자 오후 들어 긴급 회의를 소집해 대책을 숙의했다.
대통령 직속 동반성장위가 2차 적합업종을 선정,발표한 뒤 대기업과 중견기업,중소기업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레미콘과 LED램프 분야 대기업들은 강하게 반발하는 분위기다. 풀무원 등 중견 기업들로 구성된 중견기업연합회도 "적합업종 제도가 중견기업의 생존을 위협하는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떨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민간 자율합의를 통해 중소기업 사업 영역을 보호하기로 결정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환영 성명을 냈다.
◆레미콘 · LED램프 대기업 반발
레미콘공업협회 관계자는 "긴급회의에서 동반성장위가 레미콘을 중기 적합업종으로 선정한 것은 일방적인 조치로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며 "사업확장 자제 권고는 레미콘의 업종 특성을 무시한 것으로 앞으로 대형사들은 영업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예컨대 '생산규모 총량제'로 인해 대형 레미콘사의 신규공장 증설을 억제하고 평균 생산규모를 유지토록 하는 독소조항이라는 주장이다. 협회는 또 경기 호황기에 신규 중소기업 진입을 막을 수 없어 오히려 무분별한 시장 진입을 조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LED조명 사업에 진출한 대기업 · 중견 기업들도 강하게 반발했다. 동반성장위가 대기업에 대해 LED조명 정부조달시장 참여를 전면 금지하고 민수시장에서도 램프 타입으로 구분한 '벌브형LED'와 'MR''PAR' 등 3종류만 판매할 수 있게 권고한 데 따른 것이다.
벌브형LED는 백열등 대체용,MR과 PAR은 할로겐등 대체용이다. 이들 제품은 시장규모가 그리 크지 않다. LED조명 분야에서 시장규모가 가장 큰 건 형광등을 대체할 직관형LED와 면광원인데,이들 두 품목은 중소기업 적합품목으로 지정됐다.
삼성LED와 LG전자,동부라이텍 등 대기업들은 조명사업을 접어야 할 위기에 처했다. 중견 기업인 금호전기 등도 앞으로 3년간 정부조달시장 참여가 금지됨에 따라 초비상이 걸렸다.
업계 관계자는 "내년까지 국내 LED조명 수요의 90% 이상이 정부조달 분야에서 나오는데 거기에 참여하지 말라는 건 사업을 하지 말라는 얘기"라고 꼬집었다.
◆중소기업 "사후관리장치" 요구
CJ제일제당이 '포장용 대형 판두부' 사업에서 철수하기로 하는 등 대형 식품업체들은 겉으로는 "수용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내부적으론 "당장 매출 타격이 아니라 미래 성장기회를 잃어버린 것이 큰 문제"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두부시장 1위인 풀무원은 주력인 포장두부가 '확장 자제' 품목에 포함됨에 따라 50% 선인 시장점유율을 더 높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SPC그룹 계열의 삼립식품도 일반 소매점 등의 B2C(기업 · 소비자 간 거래) 부문에서 '햄버거빵' 사업을 접기로 했다.
대상 계열사로 김치시장 1위 업체인 대상FNF는 초등학교에 이어 중 · 고등학교 급식시장으로 납품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해왔으나,동반위의 '확장 자제' 권고에 따라 제동이 걸리게 됐다. 김 시장 1위인 동원F&B도 B2B 사업 확장을 자제하라는 동반위 권고를 받아들인다는 방침이다.
중소기업들은 동반성장위 결정을 환영하면서 대기업들이 성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사후관리 장치를 강구할 것을 촉구했다. 중기중앙회는 "동반성장위 결정 사항에 대해 대기업 이행 실태를 파악해 공표하는 등 실효성 있는 장치를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나머지 검토 품목 중 대기업이 진입하지 않은 품목은 중소기업 적합성을 고려해 적합업종으로 우선 선정할 것"을 요청했다.
김수언/이준혁/임현우 기자 sookim@hankyung.com
대통령 직속 동반성장위가 2차 적합업종을 선정,발표한 뒤 대기업과 중견기업,중소기업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레미콘과 LED램프 분야 대기업들은 강하게 반발하는 분위기다. 풀무원 등 중견 기업들로 구성된 중견기업연합회도 "적합업종 제도가 중견기업의 생존을 위협하는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떨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민간 자율합의를 통해 중소기업 사업 영역을 보호하기로 결정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환영 성명을 냈다.
◆레미콘 · LED램프 대기업 반발
레미콘공업협회 관계자는 "긴급회의에서 동반성장위가 레미콘을 중기 적합업종으로 선정한 것은 일방적인 조치로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며 "사업확장 자제 권고는 레미콘의 업종 특성을 무시한 것으로 앞으로 대형사들은 영업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예컨대 '생산규모 총량제'로 인해 대형 레미콘사의 신규공장 증설을 억제하고 평균 생산규모를 유지토록 하는 독소조항이라는 주장이다. 협회는 또 경기 호황기에 신규 중소기업 진입을 막을 수 없어 오히려 무분별한 시장 진입을 조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LED조명 사업에 진출한 대기업 · 중견 기업들도 강하게 반발했다. 동반성장위가 대기업에 대해 LED조명 정부조달시장 참여를 전면 금지하고 민수시장에서도 램프 타입으로 구분한 '벌브형LED'와 'MR''PAR' 등 3종류만 판매할 수 있게 권고한 데 따른 것이다.
벌브형LED는 백열등 대체용,MR과 PAR은 할로겐등 대체용이다. 이들 제품은 시장규모가 그리 크지 않다. LED조명 분야에서 시장규모가 가장 큰 건 형광등을 대체할 직관형LED와 면광원인데,이들 두 품목은 중소기업 적합품목으로 지정됐다.
삼성LED와 LG전자,동부라이텍 등 대기업들은 조명사업을 접어야 할 위기에 처했다. 중견 기업인 금호전기 등도 앞으로 3년간 정부조달시장 참여가 금지됨에 따라 초비상이 걸렸다.
업계 관계자는 "내년까지 국내 LED조명 수요의 90% 이상이 정부조달 분야에서 나오는데 거기에 참여하지 말라는 건 사업을 하지 말라는 얘기"라고 꼬집었다.
◆중소기업 "사후관리장치" 요구
CJ제일제당이 '포장용 대형 판두부' 사업에서 철수하기로 하는 등 대형 식품업체들은 겉으로는 "수용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내부적으론 "당장 매출 타격이 아니라 미래 성장기회를 잃어버린 것이 큰 문제"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두부시장 1위인 풀무원은 주력인 포장두부가 '확장 자제' 품목에 포함됨에 따라 50% 선인 시장점유율을 더 높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SPC그룹 계열의 삼립식품도 일반 소매점 등의 B2C(기업 · 소비자 간 거래) 부문에서 '햄버거빵' 사업을 접기로 했다.
대상 계열사로 김치시장 1위 업체인 대상FNF는 초등학교에 이어 중 · 고등학교 급식시장으로 납품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해왔으나,동반위의 '확장 자제' 권고에 따라 제동이 걸리게 됐다. 김 시장 1위인 동원F&B도 B2B 사업 확장을 자제하라는 동반위 권고를 받아들인다는 방침이다.
중소기업들은 동반성장위 결정을 환영하면서 대기업들이 성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사후관리 장치를 강구할 것을 촉구했다. 중기중앙회는 "동반성장위 결정 사항에 대해 대기업 이행 실태를 파악해 공표하는 등 실효성 있는 장치를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나머지 검토 품목 중 대기업이 진입하지 않은 품목은 중소기업 적합성을 고려해 적합업종으로 우선 선정할 것"을 요청했다.
김수언/이준혁/임현우 기자 soo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