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질주'가 씁쓸한 운용ㆍ자문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비중 안 늘리다 펀드 수익 저조…차·화·정 집중한 자문사 '뒷북'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주식형펀드의 벤치마크가 되는 코스피지수와 코스피200지수는 지난 9월 말 이후 이달 4일까지 각각 8.97%와 9.51% 뛰었다. 이 기간 삼성전자는 19.64% 급등하며 지수를 끌어올렸다.
반면 국내 주식형펀드(액티브 일반)의 해당 기간 수익률은 4.41%에 불과했다. 코스피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펀드조차 수익률이 6.09%에 그쳤다. 주식형펀드 내 삼성전자 비중이 시가총액 비중보다 낮은 탓이다.
8월 10% 미만으로 떨어졌던 삼성전자의 시가총액 비중은 두 달여 만에 13%대로 늘어났지만 이 기간 증시 하락을 염려한 펀드매니저들은 삼성전자에 대한 투자 비중을 적극적으로 늘리지 못했다.
삼성그룹주펀드 수익률도 삼성전자 비중에 따라 갈렸다. 삼성전자 비중이 24.81%에 달하는 '한국투자킨덱스삼성그룹주SW상장지수펀드(ETF)'의 10월 이후 수익률은 12.01%인 반면 삼성전자 비중이 10.71%인 'IBK삼성그룹A'의 수익률은 8.35%에 그쳤다.
차(자동차) · 화(화학) · 정(정유)에 집중했던 자문사들도 생각지 못한 삼성전자의 독주가 이어지면서 뒤늦게 삼성전자 담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삼성전자 투자 비중이 0%였던 브레인과 케이원은 10월 한 달 동안에만 비중을 15.2%와 14.4%로 각각 늘렸다. 한국창의 역시 10월 초 7.4%였던 비중을 13.1%로 높였다.
하지만 투자 성과는 변변치 못하다. 지난달 말 기준 주요 투자자문사의 한 달 수익률은 유리치(13.91%) 이룸(13.51%) 프렌드(12.50%) 등 일부 중소형사를 제외하곤 모두 코스피지수 상승률(11.98%)을 밑돌았다.
브레인 한국창의 코스모 레오 등 상위 자문사의 수익률도 5~10% 선에 머물렀다.
강지연/임근호 기자 sere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