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기업은 좋은 상품을 만들어 소비자의 선택을 받는 일반 영리기업과 달라 무엇보다 네트워킹이 필요합니다. 그래야 유통망을 확보할 수 있고 우호적인 환경을 만들어 지속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습니다. "

김혜원 교원대 교수는 사회적기업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일반 기업과 동등한 조건에서 경쟁하는 것은 무리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인적 네트워킹을 통한 인프라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장애인 노약자 등 주로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사회적기업은 일반기업에 비해 상품의 경쟁력면에서 떨어질 수밖에 없다.

◆네트워크 구축해 판로 확보해줘야

사회적기업이 경쟁력의 열세를 극복하기 위해선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이용해 유통망을 구축하고 지원을 받아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따라서 우리사회의 지도층이나 주류세력과 소통할 수 있는 능력있는 활동가들이 사회적기업에 뛰어들어야 성공확률이 높은 것으로 지적된다. 김 교수는 "네트워크는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능력있는 사람만이 갖출 수 있는 경쟁력"이라며 "지역사회 시민단체 사회복지재단 종교재단 기업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과 연계된 사회적기업을 만든다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러 기관 및 단체 등과 거미줄처럼 촘촘히 얽힌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정부의 직접지원이 줄더라도 자생적으로 살아남을 수 있는 생태계가 만들어진다는 분석이다. 인건비 지원 등 소모성 지원보다 중요한 것은 사회적기업이 자생력을 갖도록 시장 개척과 판로를 확보해 주자는 얘기다. 영국 미국 프랑스 등 선진국에선 오래 전부터 풀뿌리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자생적인 사회적기업을 만들어내고 있다.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들 가운데 개인소유가 많다는 점도 도마위에 오르고 있다.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조직형태별로 사회적기업을 분류하면 상법상 주식회사 형태가 248개로 전체의 42.9%에 달하고 있다. 대부분 비영리기업인 선진국의 사회적기업들과는 판이하다. 양용희 호서대 교수(사회복지학)는 "선진국의 사회적기업들은 철저히 비영리조직이어서 지분구조도 개인소유는 없고 사회가 소유하는 형태"라며 "우리나라처럼 개인이 50% 이상 지분을 소유하는 곳은 사회적기업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사업영역 다양화해야

정부의 부실한 지원정책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재정 집행의 비효율성이 가장 큰 문제이고,이는 사회적기업의 실정에 대한 인식 부족과 사회적기업 자체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의 오류에 기인한다는 비판이다. 최혁진 사회적기업진흥원 본부장도 "사회적기업에 대한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고 단지 정부의 과도한 재정투입을 통해서는 발전을 기대하기 어렵다"며 "사회경제적 기반과 문화적 토양이 어느 정도 뒷받침될 때 자생적인 사회적기업이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은애 씨즈 대표는 "사회적기업은 혁신적인 기업이지만 시장이 더디게 형성되는 게 문제"라며 "시민들이 생태적 소비를 하도록 정부가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교육 보육 간병 요양서비스 등은 돈 없는 취약계층이 소비할 수 없기 때문에 정부가 바우처(사회복지 서비스 이용권) 등 복지체계와 연계시켜 취약계층도 사회적기업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일자리 중심으로 사회적기업이 만들어지고 있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고용부가 인증한 사회적기업 571곳의 유형을 보면 60.2%(348곳)가 일자리 제공형이었다.

윤기설 좋은일터연구소장 · 노동전문기자 upyks@hankyu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