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공정위만 재미 본 백화점 수수료 인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롯데 신세계 현대 등 이른바 빅3 백화점이 결국 공정거래위원회와 판매수수료율을 낮추기로 합의했다. 대상은 이들 백화점과 거래하는 중소 납품업체의 절반가량인 1054개사로 판매 수수료율이 3~7%포인트씩 인하돼 지난달분부터 소급 적용된다고 한다. 형식은 합의지만 공정위의 두 달여에 걸친 압박에 백화점들이 백기를 든 것임은 두 말할 필요도 없다.
이번 수수료 인하는 정부가 소위 '동반성장 공생발전'을 명분으로 주유소 100원 인하에 이어 가격에 직접 개입한 또 하나의 사례다. 어떤 합리적인 근거나 이유도 없이 그저 '돈 잘버는 것 같으니 성의표시 좀 하라'는 식의 완장행정이 이번에도 통했다. 조폭의 자릿세 뜯기와 다르다고 볼 수도 없다. 앞으로의 결과 역시 뻔할 것이다. 기름값은 100원 인하가 끝난 지금 다시 껑충 뛰었고 정부는 이제 알뜰 주유소라는 또 다른 궁리를 하는 상황이다. 시장이 결정할 것에 정부가 개입하다 보니 규제가 또 다른 규제를 부르는 일이 생기는 것이다.
백화점 수수료도 마찬가지다. 누가 주고 싶어서 주고 받고 싶어서 받는 것이 아니다. 돈을 좀 더 내더라도 어떻게든 백화점에 들어가려는 납품업체들과 가능한 한 좋은 상점을 유치하려는 백화점 간 치열한 경쟁과 협상의 결과가 수수료다. 이런 것을 두고 정부가 나서 몇%를 일률적으로 내리라는 것이 도대체 말이 되는가. 울며 겨자먹기는 백화점뿐만이 아니다. 입점업체들도 입장이 곤란하기는 마찬가지다. 수수료를 더 내고라도 백화점에 입성하려던 업체들은 좌절할 것이고 현재 입점 중인 중소기업들은 재계약시 쫓겨날 가능성이 높다. 어차피 낮은 수수료라면 백화점들은 대기업 브랜드를 더 유치하려 들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백화점 수수료 강제 인하는 백화점과 납품업체 모두를 곤란하게 만드는 이상한 정책이 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소비자 가격 인하로 이어지지도 않으면서 상품권 증정 등 각종 고객행사는 축소가 불가피해 소비자 혜택은 오히려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도대체 누구를 위한 수수료 인하인지 모를 일이다. 정부는 언제까지 이런 일을 되풀이할 것인지.
이번 수수료 인하는 정부가 소위 '동반성장 공생발전'을 명분으로 주유소 100원 인하에 이어 가격에 직접 개입한 또 하나의 사례다. 어떤 합리적인 근거나 이유도 없이 그저 '돈 잘버는 것 같으니 성의표시 좀 하라'는 식의 완장행정이 이번에도 통했다. 조폭의 자릿세 뜯기와 다르다고 볼 수도 없다. 앞으로의 결과 역시 뻔할 것이다. 기름값은 100원 인하가 끝난 지금 다시 껑충 뛰었고 정부는 이제 알뜰 주유소라는 또 다른 궁리를 하는 상황이다. 시장이 결정할 것에 정부가 개입하다 보니 규제가 또 다른 규제를 부르는 일이 생기는 것이다.
백화점 수수료도 마찬가지다. 누가 주고 싶어서 주고 받고 싶어서 받는 것이 아니다. 돈을 좀 더 내더라도 어떻게든 백화점에 들어가려는 납품업체들과 가능한 한 좋은 상점을 유치하려는 백화점 간 치열한 경쟁과 협상의 결과가 수수료다. 이런 것을 두고 정부가 나서 몇%를 일률적으로 내리라는 것이 도대체 말이 되는가. 울며 겨자먹기는 백화점뿐만이 아니다. 입점업체들도 입장이 곤란하기는 마찬가지다. 수수료를 더 내고라도 백화점에 입성하려던 업체들은 좌절할 것이고 현재 입점 중인 중소기업들은 재계약시 쫓겨날 가능성이 높다. 어차피 낮은 수수료라면 백화점들은 대기업 브랜드를 더 유치하려 들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백화점 수수료 강제 인하는 백화점과 납품업체 모두를 곤란하게 만드는 이상한 정책이 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소비자 가격 인하로 이어지지도 않으면서 상품권 증정 등 각종 고객행사는 축소가 불가피해 소비자 혜택은 오히려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도대체 누구를 위한 수수료 인하인지 모를 일이다. 정부는 언제까지 이런 일을 되풀이할 것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