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ㆍ친박 "사실 아니다" 일축..일각선 꾸준히 가능성 거론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새로운 당을 만들어야 한다는 소위 `박근혜 신당론'이 불거지면서 현실화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박근혜 신당'은 현실화할 경우 그 파장이 엄청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일단 박 전 대표와 친박(친박근혜)계 주류는 강하게 부인하고 있다.

박 전 대표가 여권 분열에 빌미를 주는 듯한 인상을 우려한 측면도 있다.

박 전 대표는 14일 경북 구미시에서 열린 `박정희 대통령 탄신제'에 참석한 뒤 기자들로부터 `박근혜 신당설'에 대한 질문을 받고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단호하게 부인하고, "신당 검토도 없었다는 뜻인가"라는 물음에도 "네"라고 답변했다.

친박 핵심인 유승민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그런 식으로 분열을 초래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고 일축했고, 한 측근도 "상황이 답답하다고 죽을 길로 갈 수는 없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권영세 의원은 트위터를 통해 "개혁 노력을 해보다 안될때 얘기하면 모를까 그것도 없이 바로 신당 얘기를 꺼내면 과거 친박을 숙청한 일부 친이들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소리를 들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내에서도 `박근혜 신당' 현실화 가능성을 낮게 보지만, 향후 정치 환경에 따라 이를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는 관측도 없지 않다.

한 친박 핵심 의원은 "정기국회가 끝나도 청와대가 쇄신 의지가 없고 당 지도부가 무기력하다면 그때는 박 전 대표도 생각의 일단을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라며 "다만 지금 `박근혜 신당설'을 거론하게 되면 모든게 매몰될 수 있으니, 조금 더 상황을 지켜보고 얘기할 사안"이라며 가능성을 닫지 않았다.

영남권의 한 의원도 "당 일부가 당을 바꾸고자 하는 노력을 의도적으로 가로막는 경우에는 `박근혜 신당설'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커질 걸로 본다"고 말했고, 수도권의 한 초선 의원은 "보수가 재편된다면 박 전 대표가 중심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근혜 신당'의 가능성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시험대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공천 과정에서 극도의 불협화음이 노출될 경우 어떤 선택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와 함께 정몽준 전 대표나 김문수 경기지사 등 당내 잠룡의 공세가 거세지고 배후에 반박(반 박근혜) 세력의 `기획'이 있다는 인식이 퍼지게 되면 친박측의 `탈(脫) 한나라당' 요구가 더 힘을 얻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온다.

유 최고위원이 김 지사의 `박근혜 공격'과 관련, 이날 한 언론에 "일부 청와대 인사가 김문수ㆍ정몽준ㆍ박세일ㆍ정운찬을 묶어 새로운 정치세력을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다는 정보를 듣고 있다"고 주장하고, 친 정몽준계인 안효대 의원이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부처 눈에는 부처만, 돼지 눈에는 돼지만 보인다는 말이 있다"며 "친박이 집단 자폐증에 걸린 것 같다"고 맹공을 퍼부은 것도 이런 관측과 궤를 같이 한다.

이런 가운데 당 일각에선 박 전 대표가 당에 남아 중심 역할을 하면서 기존 한나라당의 당명을 바꾸는 형태의 `신당 창당' 주장도 제기된다.

한 전략기획통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현 정부와 각을 세우면서 당을 끌고가는 과정에서 반대하는 의원들이 있을 경우 당에서 나가게 한 뒤 당명을 바꿔 새롭게 출발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남권 기자 sout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