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이어 캐나다, 멕시코도 TPP 동참 의사 밝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본에 이어 멕시코와 캐나다가 '환태평양경제동반협정(TPP)'에 참여 의향을 피력해 TPP의 ‘판’이 커지고 있다.
AP, AFP 등 외신에 따르면 캐나다와 멕시코는 13일(현지시간) 하와이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TPP 관련 다자 대화에 참석하겠다는 의사를 피력했다.
TPP는 자국의 경기침체를 무역으로 돌파하려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APEC를 계기로 부각시킨 이니셔티브다. 협상 참여국들이 최종 서명할 경우 유럽연합(EU)을 능가하는 세계 최대 자유무역 지대가 탄생할 전망이다. 그러나 미국의 영향력을 위협하고 있는 중국이 미국 주도의 TPP가 자신들을 고립시키려는 정책이라는 의심을 갖고 있는데다 각국 내부의 이해관계로 인해 협상이 순탄하게 진행될지는 미지수다.
스티븐 하퍼 캐나다 총리는 호놀룰루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TPP 참여에 대해 “공식적인 의향”을 표명한다고 밝힌 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의 TPP 참여를 강력 희망한다는 뜻을 전해왔다고 전했다. 또 미국 당국자들은 멕시코 역시 TPP에 대한 관심을 표명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TPP 협상에 나설 나라는 미국 호주 싱가포르 뉴질랜드 칠레 말레이시아 베트남 페루 브루나이 일본 캐나다 멕시코 등 12개국으로 늘어났다. TPP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경제의 통합을 목적으로 2005년 뉴질랜드, 싱가포르, 칠레, 브루나이 4개국 체제로 출범한 다자간 자유무역협정이다.
2006년 1월까지 회원국간 관세의 90%를 철폐하고, 2015년까지 무역장벽을 전면 철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협정은 2008년 2월 미국이 뛰어들면서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2009년 취임한 오바마 대통령도 아태지역을 중시하는 기조 속에 TPP를 미국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핵심 고리로 평가했다. 더욱이 세계 3위의 경제대국인 일본의 참여 결정은 TPP에 새로운 동력을 제공한 일로 평가된다.
이번 하와이 APEC를 계기로 미국 호주 싱가포르 뉴질랜드 칠레 말레이시아 베트남 페루 브루나이 등 9개국 정상은 내년까지 TPP협정을 마무리 짓기로 합의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