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속보]교육과학기술부는 14일 서울대 생명과학부 이준호 교수팀이 예쁜꼬마선충(C.elegans)을 연구해 단일세포 수준에서 종의 확산행동 과정을 세포수준에서 규명했다고 발표했다.

종의 확산 과정은 조개가 새의 다리에 붙어 다른 먼 곳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특정 종이 타지역으로 퍼져나가는 현상을 말한다.

단순한 신경계를 갖고 있어 신경세포 연구의 모델로 쓰이는 예쁜꼬마선충은 평소에는 바닥에 붙어 기어다니다가, 생존과 번식에 부적합한 환경을 만나면 꼬리를 바닥에 붙이고 몸을 들어올리는 ‘닉테이션’이란 행동을 한다.불리하면 다른 동물에 부착할 확률을 높여 새로운 서식지로 이동하려는 것이다.연구팀은 신경세포 ‘IL2 뉴런’ 을 제거한 선충은 부적합한 환경에서 닉테이션을 하지 않다가 이를 복원하면 닉테이션을 재개하는 것을 확인했다.이 교수는 “다윈이 종의 기원에서 제시한 종의 확산 과정을 세포 수준에서 규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이 연구결과는 신경과학분야 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실렸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