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보고서 "2015년 신흥경제권시대 열린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속보]최근 미국과 유럽의 재정위기로 선진경제권의 지속성장여부가 불투명한 가운데 2015년부터 세계경제의 중심축이 신흥경제권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대한상공회의소는 17일‘신흥경제권 전망과 대응과제’ 보고서를 발표하고 “1995년 세계 GDP의 1/3에 불과했던 신흥경제권의 비중이 2010년 현재 45% 수준에 도달했다”며 “2015년 50%,2020년 55%로 선진경제권을 추월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선진경제권과 신흥경제권의 분류는 소득과 산업발달 수준,인적개발 정도를 평가한 IMF 기준에 따른 것으로 선진경제권은 미국,일본,유럽 주요국과 한국,싱가포르,대만,홍콩 등 34개국이다.신흥경제권은 중국,인도,러시아 등 150개 국가들로 구성된다.
보고서는 최근 선진경제권 국가들의 경제발전단계가 성숙기에서 쇠퇴기로 접어드는 조짐인 반면 BRICS(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공)를 포함 인도네시아,베트남,터키 등은 성장활력이 높아지는 양상이라고 전했다.
대한상의는 1만불 이상 중산층인구 중에서 신흥경제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기준 40%(5억6000만명)에서 2015년에는 52%(9억5000만명),2020년 61%(14억6000만명) 등으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생산활동에 참여가능한 젊은 인구가 많다는 것도 신흥경제국의 성장 전망을 밝게 했다.보고서는 “선진경제권의 경우 40세 이상 고령인구가 절반(50%)인 반면 신흥경제권의 40세 미만 젊은 인구는 72%에 달해 생산과 구매활동이 더욱 활발해 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에 따라 대한상의는 신흥경제권 시대를 한국의 지속성장기회로 활용하고 저개발국과의 공생발전 관계를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대한상의는 보고서를 통해 “저개발국의 경제발전과 사회개발을 도와주는 한편 우리 중소기업이나 내수서비스산업이 후발개도국으로 진출하는 기회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동남아지역 산업기지화,중남미 및 아프리카지역 사회개발사업,중동 및 중앙아시아지역 석유화학산업단지 조성사업 등 경제개발 네트워크를 한류전파와 한국제품 수출의 교두보로 활용할 것을 강조했다.
박종남 대한상의 상무는 ”많은 후발개도국들이 한국형 발전모델을 따르고, 한국식 산업발전과 설비투자를 추진한다면 향후 막대한 이득이 이어질 것“이라며 “미래를 내다보고 성장잠재력이 큰 신흥경제권 투자에 나설 때”라고 말했다.
윤정현 기자 hit@hankyung.com
선진경제권과 신흥경제권의 분류는 소득과 산업발달 수준,인적개발 정도를 평가한 IMF 기준에 따른 것으로 선진경제권은 미국,일본,유럽 주요국과 한국,싱가포르,대만,홍콩 등 34개국이다.신흥경제권은 중국,인도,러시아 등 150개 국가들로 구성된다.
보고서는 최근 선진경제권 국가들의 경제발전단계가 성숙기에서 쇠퇴기로 접어드는 조짐인 반면 BRICS(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공)를 포함 인도네시아,베트남,터키 등은 성장활력이 높아지는 양상이라고 전했다.
대한상의는 1만불 이상 중산층인구 중에서 신흥경제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기준 40%(5억6000만명)에서 2015년에는 52%(9억5000만명),2020년 61%(14억6000만명) 등으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생산활동에 참여가능한 젊은 인구가 많다는 것도 신흥경제국의 성장 전망을 밝게 했다.보고서는 “선진경제권의 경우 40세 이상 고령인구가 절반(50%)인 반면 신흥경제권의 40세 미만 젊은 인구는 72%에 달해 생산과 구매활동이 더욱 활발해 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에 따라 대한상의는 신흥경제권 시대를 한국의 지속성장기회로 활용하고 저개발국과의 공생발전 관계를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대한상의는 보고서를 통해 “저개발국의 경제발전과 사회개발을 도와주는 한편 우리 중소기업이나 내수서비스산업이 후발개도국으로 진출하는 기회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동남아지역 산업기지화,중남미 및 아프리카지역 사회개발사업,중동 및 중앙아시아지역 석유화학산업단지 조성사업 등 경제개발 네트워크를 한류전파와 한국제품 수출의 교두보로 활용할 것을 강조했다.
박종남 대한상의 상무는 ”많은 후발개도국들이 한국형 발전모델을 따르고, 한국식 산업발전과 설비투자를 추진한다면 향후 막대한 이득이 이어질 것“이라며 “미래를 내다보고 성장잠재력이 큰 신흥경제권 투자에 나설 때”라고 말했다.
윤정현 기자 h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