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소프트웨어(SW)업계가 중국이나 베트남 인력들에 개발 업무를 맡기고 있다는 보도다. 국내 인력이 원하는 임금 수준을 맞출 수 없는데다 3D 업종으로 인식되고 있어 결국 외국인들을 고용한다는 것이다. 특히 단순한 프로그램 언어를 활용하는 범용 소프트웨어 개발분야에선 외국인 활용 비중이 더 높다고 한다.

소프트웨어가 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다. 삼성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전 세계 시가총액 상위 100대 기업 중 소프트웨어 기업 비중이 1990년 17%에서 2010년 34%로 두 배로 늘어났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IBM 오라클 등 상위 10대 기업 순위 5위까지가 모두 소프트웨어 기업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통신기술들이 결합하는 패키지형 SW가 부상하는 등 관련 기술도 급변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우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기업 간 전쟁도 치열하다. 미국에선 SW 인재의 평균 초봉이 10만달러에 이른다고 한다.

국내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촉진법이 제정된 것은 이미 1987년이었다. 2000년에는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으로 개정되면서 인력 양성부문을 대통령령으로 따로 떼어냈다. 하지만 지금도 여전히 소프트웨어 업계는 인재난을 말하고 있다. 법과 제도가 아무리 훌륭하고 정부 지원이 있어도 지금의 경쟁력은 관련산업을 영위하는 OECD 19개국 중 14위에 불과하다. 물론 업계는 우수 인력들이 이 분야 진출을 기피하고 있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수직적 하도급 관행 등을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지적한다. 저작권에 대한 인식이 낮아 창안물에 대한 적절한 보호가 없는 것도 개발자들의 의욕을 떨어뜨린다. SNS 등 IT기술이 일상생활까지 지배하는 나라에서 정작 소프트웨어를 고급산업으로 키우지 못하고 있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관련업계의 분발을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