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존 재정위기가 유럽중앙은행(ECB)의 국채 매입으로 하루하루 연명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재정위기의 향방은 독일의 유로존 해체와 존속 의지에 달려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상재 현대증권 이코노미스트는 20일 "유로존 재정위기와 관련해 ECB의 개입 여부를 놓고 독일과 다른 유럽 국가들의 불협화음이 이어지고 있다" 면서 "유로존의 재정위기는 독일이 그 해결의 실마리를 쥐고 있다"라고 판단했다.

그는 "이탈리아와 스페인으로까지 확산된 유로존의 재정위기는 ECB의 국채 매입으로 매일 버텨내고 있다" 며 "지난 주말 유로존의 재정 위기는 ECB의 국채 매입과 국제통화기금(IMF) 대출 가능성이 제기되며 이탈리아와 스페인의 국채금리가 떨어지는 등 다소 소강 양상을 보였다"고 전했다.

그러나 독일은 여전히 ECB 개입 가능성에 대한 거부 의사를 굽히지 않고 있다. '유로존 해체'라는 공포가 번져야 벼랑 끝에 몰린 독일이 이 방안에 대한 입장을 바꿀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그는 "앞으로 유로존 재정위기의 향방은 독일의 유로존 해체 또는 존속 의지에 달려 있다" 며 "유로존이 존속하기 위해선 ECB의 개입을 용인할 지 여부가 관건인데 ECB의 개입 방안은 유럽재정안정기금(EFSF) 대출보다 IMF 대출을 통한 우회 지원에 더 힘이 실리고 있다"고 내다봤다.

이 이코노미스트는 다만 "유로존 해체는 그 여파를 가늠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메르켈 독일 총리조차 고려의 여지가 없다는 견해를 반복하고 있는 것" 이라며 "유로존이 해체가 아닌 재정위기 타개를 통해 체제를 존속하기를 원한다면 현 시점에선 ECB의 개입 여부가 운명을 좌우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정현영 기자 jhy@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