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기사는 BizⓝCEO 기획특별판 입니다 >

요즘 상생문화, 동반성장이라는 말이 세간의 화두가 되고 있다. 정부도 동반성장 정책을 의욕적으로 펼치고 있다. 하지만 제조업 부문에 치우쳐 있어 일자리 창출의 원천으로 부각되고 있는 물류산업을 간과하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

이제껏 제조업 위주의 성장정책에 따라 물류산업은 타 산업을 지원하는 부수적 산업이라는 인식이 아직 남아 있는데, 또다시 동반성장 정책에서도 소외되는 것은 아닌가 걱정이 앞선다.

한국교통연구원 자료를 보면 3자물류비는 5년 전에 비해 낮아졌고, 2자물류비는 높아졌다. 최근 정부 차원의 3자물류 경쟁력 강화와 활성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2자물류비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전과는 다른 정책적 접근이 요구된다는 분석도 나왔다.

2자물류와 3자물류기업을 단순 비교하면 단기적으로는 2자물류기업이 우세할 수 있다. 그러나 화주기업은 나무만 보지 말고 숲을 보아야 한다. 화주기업과 2자물류기업은 양자 간의 지나친 의존도 때문에 2자물류기업의 혁신을 기대하긴 어렵다.

화주기업은 물류기업과 동반성장을 위한 첫걸음을 과감하게 내디뎌야 한다. 경쟁입찰로 역량 있는 전문물류기업들의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공정경쟁을 통한 동반성장의 물꼬를 터야 한다. 화주기업과 물류기업이 진정한 협업과 파트너십의 새로운 협력자 관계를 만들어야 더 높은 단계로 비상할 수 있다.

물류기업은 스스로 탄탄한 자생기반을 구축하여 물류산업의 위상을 높여야 한다. 지금까지의 소모적인 가격경쟁에서 벗어나 고품질 서비스에 기반한 부가가치 경쟁으로 변모해 나가야 한다.

수사적 표현이 아니라 실제로 물류기업이 화주기업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주기 위해서는 실력을 키우고, 뼈를 깎는 노력과 혁신으로 단단하게 무장해야 한다.

정부는 물류산업 육성을 위한 관련 법률의 정비, 지원 강화 등의 정책을 지속적으로 강력하게 추진해야 한다. 그동안 제조업은 정보화·기술개발·공정혁신·컨설팅 지원 등 다양한 부문에서 지원을 받아온 것에 비해, 물류산업은 차별 대우를 받고 있다. 물류기업의 원가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요소를 발굴해 지원함으로써 물류서비스의 질적 제고와 시장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규제가 필요한 곳은 과감하게 규제하고, 완화해야 할 곳은 시장논리에 맡겨야 한다. 합리적인 정책을 펴고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 주는 정부의 보다 강력한 리더십을 기대한다.

가야 할 길이 그리 평탄치 만은 않다. 물류현장에서 묵묵히 땀 흘리며 열심히 일하고 있는 전국의 물류업 종사자들이 자부심을 갖고 일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해 주어야 하는 것이 우리 모두의 사명이다. 화주기업-물류기업-정부가 삼위일체가 되어 전 산업의 혈관과 같은 물류산업이 활력을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