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국제병원 조기 설립해달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민들 "외국인 주거에 꼭 필요"
송도 주민 위주로 구성된 '인천국제병원 설립추진위원회'는 22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제병원의 조속한 설립을 촉구했다. 추진위는 "국제병원은 외자유치와 외국인 주거여건 조성을 위한 필수시설"이라며 "일부 정치세력과 시민단체 주도로 병원 설립 반대 움직임이 조직적으로 펼쳐지고 있는 상황을 우려한다"고 밝혔다.
김창호 추진위원장은 "국제도시를 표방하면서 정작 외국인을 위한 국제병원이 한 곳도 없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며 "국제병원 설립은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추진위는 4320명의 서명을 받은 '인천국제병원 설립 촉구 청원서'를 인천시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제출했다.
이에 대해 일부 시민단체들은 "국제병원은 송도에 국한된 현안이 아니다"며 "국내 의료체계 전반에 미칠 영향을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행 '경제자유구역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은 외국 의료기관의 설립을 허용하고 있지만 허가요건과 세부절차 등 실행 규정이 미비한 탓에 송도국제병원은 2007년 이후 세 차례나 사업실행이 중단된 바 있다.
인천경제청은 지난 3월 병원 투자 우선협상대상자로 일본 투자사와 삼성증권 등이 참여한 ISIH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내년에는 인천시-투자자-운영기관 간 3자 협약을 맺어 공사를 시작할 계획이었지만 일부에서 국제병원 설립을 막고 있어 착공 시기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인천=김인완 기자 iykim@hankyung.com
김창호 추진위원장은 "국제도시를 표방하면서 정작 외국인을 위한 국제병원이 한 곳도 없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며 "국제병원 설립은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추진위는 4320명의 서명을 받은 '인천국제병원 설립 촉구 청원서'를 인천시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제출했다.
이에 대해 일부 시민단체들은 "국제병원은 송도에 국한된 현안이 아니다"며 "국내 의료체계 전반에 미칠 영향을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행 '경제자유구역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은 외국 의료기관의 설립을 허용하고 있지만 허가요건과 세부절차 등 실행 규정이 미비한 탓에 송도국제병원은 2007년 이후 세 차례나 사업실행이 중단된 바 있다.
인천경제청은 지난 3월 병원 투자 우선협상대상자로 일본 투자사와 삼성증권 등이 참여한 ISIH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내년에는 인천시-투자자-운영기관 간 3자 협약을 맺어 공사를 시작할 계획이었지만 일부에서 국제병원 설립을 막고 있어 착공 시기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인천=김인완 기자 i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