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판매장에 커피 향기가···"하루 방문객 550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대차 이색 테마지점 개장···마케팅 新전략
지난 24일 오후 커피 향기 묻어나는 현대자동차 서울 여의도지점. 요즘 이 곳은 손님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는다. 평일 낮에도 커피를 마시러 오는 사람들이 몰려든다.
여의도에 회사를 둔 30대 남성 직장인 정모 씨는 "커피를 마시면서 자동차를 구경한다는 게 참 이색적인 풍경" 이라며 "직장 동료들과 자연스레 자동차를 주제로 대화를 주고 받게 된다"고 말했다.
◆ 현대차 에스프레소 1호점···"車도 팔고, 커피도 팔고"
현대차는 지난달 커피빈과 손잡고 여의도지점에 '에스프레소 1호점'을 열었다. 현대차 커피점은 매장 안에 또 다른 매장을 만들어 상품을 판매하는 새로운 매장 형태인 '숍 인 숍(Shop in Shop)' 방식을 도입했다. 국내 자동차 전시장에 커피점이 들어선 곳은 여기가 처음이다.
김충호 현대차 사장은 커피점 오픈 당시 "고객 접점에 대한 새로운 생각과 시도로 영업점을 단순한 비즈니스 공간에서 자동차와 고객, 새로운 경험이 공존하는 이색 복합거점으로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차 에스프레소 1호점은 올 초 현대차가 공식 발표한 새로운 브랜드 슬로건(New Thinking New Possibilities) 아래 탄생했다. 정의선 부회장의 작품이란 얘기도 나온다. 이에 대해 회사 측은 고객 감성 마케팅을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라고 밝혔다.
이날 매장에서 만난 이현진 커피빈 점장은 커피 매장이 이렇게 달라질 수 있는지 새삼 느끼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매장을 찾는 손님들이 커피를 마시면서 자동차를 살펴보고, 또 문을 열고 타보기도 한다"고 전했다.
임영철 여의도지점장은 "과거 자동차 전시장은 고객들이 발을 붙이기가 불편한 장소였다" 면서 "하지만 우리 매장은 커피 마시러왔다가 자동차를 구경하는 손님들이 늘어나면서 활기가 넘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어 "기존에는 하루 평균 5~10명 정도가 매장에 들러 팜플렛을 가져가는 게 전부였으나 요즘은 평일 500여명, 주말에도 150명 가량이 매장을 찾는다"고 밝혔다.
◆ 영업점 변화…"전시장 분위기 달라지네"
국산차 전시장이 달라지고 있다. 현대차 에스프레소 1호점은 일반인도 새로 나온 차를 편하게 접해볼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매장을 찾은 손님이 자동차를 만지고 타도 영업사원이 접근하지 않는다. 손님이 차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 질문을 던질 때서야 직원들이 고객들에게 다가간다.
임 지점장은 "전시장 방문 고객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영업도 달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차를 보고 구매에 관심이 있는 고객은 상담실로 들어와 차량 구매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상담실도 수입차 매장처럼 고급스럽게 꾸몄다. 국산차 영업도 수입차처럼 고객이 쇼룸을 찾는 '백화점식' 영업으로 바꾸기 위한 것이다.
현대차 여의도지점은 4대의 자동차가 전시돼 있었다. 쏘나타 하이브리드, 제네시스 쿠페, i30 등 양산차 3대와 지난 4월 서울모터쇼에서 공개된 블루스퀘어(HND-6) 연료전지 콘셉트카다.
임 지점장은 "고객들이 많이 들어오는 매장 특성상 여의도지점은 가급적 신차나 친환경 미래형차를 전시할 예정" 이라며 "하루 500명 넘게 매장을 들르기 때문에 이 곳을 신차 전시회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고객 접점 강화···"지역별 특화 매장 늘린다"
최근 현대차는 지역별로 특화된 이색 테마지점을 늘려가고 있다.
지난 16일 경기 용인에 위치한 현대차 수지지점엔 가족 문화공간 개념의 '패밀리 테마지점'을 열었다. 현대차 수지지점은 어린이 도서관과 교통안전 애니메이션(3D)을 상영하는 DVD 시청각 교육장, 아이들이 즐길 수 있는 키즈 카페 등을 갖췄다.
현대차가 이 곳에 애니메이션 캐릭터 '로보카 폴리'를 활용한 키즈 카페를 개장한 것은 유아 인구가 많은 수지지역의 특성을 고려했다.
지난해 10월 현대차는 서울 대치지점에 갤러리점을 열었다. 이 곳은 사진작가 김중만 작품이 전시돼 있다. 현대차는 앞으로 유망 신예 작가들의 작품도 대치지점에 선보일 계획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 쇼룸은 이제 단순히 차를 전시하는 곳이 아니라 다양한 휴식 및 문화 공간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며 "지역별 특화 매장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김정훈 기자 lennon@hankyung.com
▶▶관련기사 : "이젠 車영업도 '고객 감성' 읽어야"
지난 24일 오후 커피 향기 묻어나는 현대자동차 서울 여의도지점. 요즘 이 곳은 손님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는다. 평일 낮에도 커피를 마시러 오는 사람들이 몰려든다.
여의도에 회사를 둔 30대 남성 직장인 정모 씨는 "커피를 마시면서 자동차를 구경한다는 게 참 이색적인 풍경" 이라며 "직장 동료들과 자연스레 자동차를 주제로 대화를 주고 받게 된다"고 말했다.
◆ 현대차 에스프레소 1호점···"車도 팔고, 커피도 팔고"
현대차는 지난달 커피빈과 손잡고 여의도지점에 '에스프레소 1호점'을 열었다. 현대차 커피점은 매장 안에 또 다른 매장을 만들어 상품을 판매하는 새로운 매장 형태인 '숍 인 숍(Shop in Shop)' 방식을 도입했다. 국내 자동차 전시장에 커피점이 들어선 곳은 여기가 처음이다.
김충호 현대차 사장은 커피점 오픈 당시 "고객 접점에 대한 새로운 생각과 시도로 영업점을 단순한 비즈니스 공간에서 자동차와 고객, 새로운 경험이 공존하는 이색 복합거점으로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차 에스프레소 1호점은 올 초 현대차가 공식 발표한 새로운 브랜드 슬로건(New Thinking New Possibilities) 아래 탄생했다. 정의선 부회장의 작품이란 얘기도 나온다. 이에 대해 회사 측은 고객 감성 마케팅을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라고 밝혔다.
이날 매장에서 만난 이현진 커피빈 점장은 커피 매장이 이렇게 달라질 수 있는지 새삼 느끼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매장을 찾는 손님들이 커피를 마시면서 자동차를 살펴보고, 또 문을 열고 타보기도 한다"고 전했다.
임영철 여의도지점장은 "과거 자동차 전시장은 고객들이 발을 붙이기가 불편한 장소였다" 면서 "하지만 우리 매장은 커피 마시러왔다가 자동차를 구경하는 손님들이 늘어나면서 활기가 넘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어 "기존에는 하루 평균 5~10명 정도가 매장에 들러 팜플렛을 가져가는 게 전부였으나 요즘은 평일 500여명, 주말에도 150명 가량이 매장을 찾는다"고 밝혔다.
◆ 영업점 변화…"전시장 분위기 달라지네"
국산차 전시장이 달라지고 있다. 현대차 에스프레소 1호점은 일반인도 새로 나온 차를 편하게 접해볼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매장을 찾은 손님이 자동차를 만지고 타도 영업사원이 접근하지 않는다. 손님이 차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 질문을 던질 때서야 직원들이 고객들에게 다가간다.
임 지점장은 "전시장 방문 고객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영업도 달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차를 보고 구매에 관심이 있는 고객은 상담실로 들어와 차량 구매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상담실도 수입차 매장처럼 고급스럽게 꾸몄다. 국산차 영업도 수입차처럼 고객이 쇼룸을 찾는 '백화점식' 영업으로 바꾸기 위한 것이다.
현대차 여의도지점은 4대의 자동차가 전시돼 있었다. 쏘나타 하이브리드, 제네시스 쿠페, i30 등 양산차 3대와 지난 4월 서울모터쇼에서 공개된 블루스퀘어(HND-6) 연료전지 콘셉트카다.
임 지점장은 "고객들이 많이 들어오는 매장 특성상 여의도지점은 가급적 신차나 친환경 미래형차를 전시할 예정" 이라며 "하루 500명 넘게 매장을 들르기 때문에 이 곳을 신차 전시회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고객 접점 강화···"지역별 특화 매장 늘린다"
최근 현대차는 지역별로 특화된 이색 테마지점을 늘려가고 있다.
지난 16일 경기 용인에 위치한 현대차 수지지점엔 가족 문화공간 개념의 '패밀리 테마지점'을 열었다. 현대차 수지지점은 어린이 도서관과 교통안전 애니메이션(3D)을 상영하는 DVD 시청각 교육장, 아이들이 즐길 수 있는 키즈 카페 등을 갖췄다.
현대차가 이 곳에 애니메이션 캐릭터 '로보카 폴리'를 활용한 키즈 카페를 개장한 것은 유아 인구가 많은 수지지역의 특성을 고려했다.
지난해 10월 현대차는 서울 대치지점에 갤러리점을 열었다. 이 곳은 사진작가 김중만 작품이 전시돼 있다. 현대차는 앞으로 유망 신예 작가들의 작품도 대치지점에 선보일 계획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 쇼룸은 이제 단순히 차를 전시하는 곳이 아니라 다양한 휴식 및 문화 공간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며 "지역별 특화 매장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김정훈 기자 lennon@hankyung.com
▶▶관련기사 : "이젠 車영업도 '고객 감성' 읽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