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페스티벌] "갤럭시만 수출하지 말고 금융 IT 서비스도 세계에 팔자"
한국이 모바일금융과 관련해 세계에서 주도권을 갖기 위해선 기술적인 하드웨어 개발보다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한 서비스 개발에 무게를 둬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스마트폰의 발달로 급격히 팽창하는 글로벌 모바일금융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선 금융회사와 정보기술(IT)업계 간 협력뿐만 아니라 정부 부처 간 협업도 필수로 지적됐다.

한국경제신문이 29일 서울 밀레니엄힐튼호텔에서 개최한 ‘2011 모바일금융콘퍼런스’에서 업계와 학계 전문가들은 모바일 금융의 향후 전략을 심도있게 논의했다.

○“혁신기술 마음껏 펼칠 시장을 만들자”

한준성 하나은행 본부장은 ‘스마트폰 확산에 따른 지급결제 부문의 컨버전스 전략’ 강연에서 “금융회사, 통신회사 등 각각의 시장 플레이어들이 자기 비즈니스만 생각한다”며 “혁신적인 금융 IT서비스 개발 사례가 많지 않은 것도 이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한 본부장은 “혁신기술을 마음껏 펼치고 공유하는 시장을 만들자”고 제안했다. 그는 해외 사례로 미국 금융IT콘퍼런스인 ‘피노베이트(Finovate)’를 소개했다. 60여개의 금융IT 벤처기업 대표들이 매년 두 차례 5분간 자신만의 아이디어와 혁신 사례를 소개하며 경연하는 이 행사에서 새로운 아이디어의 상품화가 이뤄진다는 것이다. 그는 “우리도 아이디어만 있으면 누구나 성공할 수 있는 금융 IT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한국만의 규정을 만들지 말고 세계적으로 통용될 수 있도록 금융과 IT관련 법이나 규정의 재정비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 본부장은 하나은행의 IT혁신 사례도 소개했다. 하나은행은 모바일금융 분야에서 △경쟁자라도 필요할 경우 협업하고 △상품 판매보다 고객 가치를 중시하며 △고객과의 접점은 모든 것이 채널이 된다는 전략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 모바일금융 서비스는 약해

김홍근 액센츄어 전무는 ‘글로벌 스마트 뱅킹’ 강연에서 “국내 은행과 금융IT업체들은 모바일금융의 거래 처리나 기술 측면에서 세계 최고 수준이나 서비스 측면에선 부족한 점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국내 금융회사도 트위터 페이스북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단순한 홍보 수단 이외에도 서비스나 상품 판매 수단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가 소개한 ING은행의 경우 2009년 6월부터 모든 보험고객에게 트위터 애플리케이션인 ‘Fee Tweeter’의 서비스를 시작했다. 사용자가 은행의 수수료를 입력하면 각각의 공유된 수수료 정보가 추적돼 매주 지급된 총수수료액 정보가 주단위로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2009년 1월부터 온라인뱅킹 사용자를 대상으로 트위터를 통한 고객 민원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들에게 불만사항을 묻고 즉각적으로 해결해주는 서비스다.

한편 이날 콘퍼런스에서 전 세계 모바일카드 이용자 수는 2010년 3만명에서 2011년 12만명, 2012년 81만명, 2013년 212만명, 2014년 486만명, 2015년 1087만명 등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산됐다. 연평균 245% 성장률을 기록한다는 것이다. 모바일카드의 연간 매출도 스마트폰 보급으로 내년 3000억원에서 2015년 44조원으로 연평균 616%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모바일 결제시장 규모 역시 2012년 1010억달러, 2013년 1600억달러, 2014년 2460억달러로 2007년부터 2014년까지 평균 성장률이 91.38%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IT 인프라·서비스도 수출을”

이충렬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모바일 뱅킹의 과거, 현재 그리고 향후 전망’ 강의에서 “앞으로 한국 금융회사와 IT업계가 한단계 나아진 서비스를 개발해 세계시장에 내놔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우리나라가 갤럭시 등 스마트폰만 세계 시장에 팔지 말고 이러한 IT금융의 인프라와 서비스를 개발해 세계시장에 내놔야 한다”며 “제품보다는 계속적으로 로열티를 받을 수 있는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이 발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IT금융 분야에 산재된 정책부서를 유기적으로 통합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했다. 그는 모바일카드 표준화를 두고 방송통신위원회, 지식경제부가 ‘밥그릇 싸움’을 한 사례를 들며 “여러 기관이 IT 및 금융과 관련해 얽혀 있다 보니 서로 책임을 떠넘기게 되고 주도권 다툼을 하는 등 부작용이 나타났다”며 “모바일 지급결제와 관련해서도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 등이 유기적으로 화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